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학습 전략 양상을 밝히고 학습 단계에 따른 전략 사용의 차이와 변화를 연구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 전략의 유형 및 구체적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의 각 언어 기능별 한국어 학습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질적 면담을 통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학습 전략 사용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전략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인 학습자 총 180명을 대상으로 언어 기능별 학습전략 사용양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Oxford(1990)의 SILL을 바탕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네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전략 목록을 다시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21(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습자가 사용하는 구체적인 학습전략 사용 양상 및 학습 단계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대상은 고급 학습자들 중에서 10명을 선정하였으며, 문헌조사에 기초하여 질문내용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 사용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각 언어 기능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 단계에 따른 전략 사용의 변화 양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도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초급 학습자들은 전반적인 전략 사용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보상 전략과 정의적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기억 전략과 상위인지 전략의 사용이 낮게 나타났다. 듣기에서 기억전략과 상위 인지 전략의 사용이 다른 기능 영역에 비해 사용 빈도가 낮게 나타났고, 정의적 전략에서는 구어 영역에서의 전략 사용빈도가 문어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급 학습자들은 보상 전략과 인지 전략의 사용이 높게 나타나고 상위 인지 전략의 사용이 낮게 나타났다. 네 가지 언어 기능에 걸쳐 보상전략의 사용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상위 인지 전략의 사용이 다른 전략 유형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읽기 영역에서 상위인지 전략의 사용이 낮게 나타났다. 정의적 전략과 사회적 전략에서 구어 영역에서 문어 영역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직접 전략의 사용이 간접 전략보다 더 활발하게 일어났다. 고급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전략 사용이 비교적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보상 전략의 사용이 높게 나타나고 상위인지 전략과 사회적 전략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상위 인지 전략과 정의적 전략, 사회적 전략, 즉 간접 전략에서 구어 영역에 비해 문어 영역에서의 전략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각 학습 단계의 특징에 따른 차별화된 전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상위인지 전략에 대한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언어 기능별 언어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전체에 걸쳐 보상 전략의 사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위인지 전략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상위 인지 전략은 전략들의 사용과 조절을 담당하는 전략으로 아무리 다른 전략을 명시적으로 교육하여도 이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평가하는 상위 인지 전략이 없으면 교육 효과를 담보할 수 없으므로 상위인지 전략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듣기와 말하기라는 구어 영역에서 정의적 전략과 사회적 전략의 사용이 읽기와 말하기라는 문어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어와 문어의 차별적 특성 상 청자(혹은 가상의 청자)라는 상대, 그리고 한번 지나가면 수정이 불가능한 시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감정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정의적 전략의 사용이 이러한 제약이 없고 돌이켜 수정 가능한 문어 영역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구어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남에 따라 사회적 전략의 사용도 문어 영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어 기능에 따른 전략 사용이 각각 다르므로 언어 기능에 따라 학습 전략 지도를 달리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숙달도에 따른 전략 사용의 차이를 볼 때 기억 전략과 인지 전략, 상위인지 전략에서 초급 학습자와 중·고급 학습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고급 학습자들의 경우 학습 과정에서 다양한 전략들을 습득하고 사용하게 되어 전략 사용이 다양하고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초급 학습자들은 언어 학습 기간이 짧고 다양한 전략들을 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