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에서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분석 : KLoSHA 코호트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목적 :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이 연관되어있다는 것은 여러 차례 보고된바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주관적인 인지기능 감소와 느린 보행속도를 보이는 치매가 없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

목적 :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이 연관되어있다는 것은 여러 차례 보고된바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서 주관적인 인지기능 감소와 느린 보행속도를 보이는 치매가 없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향후 치매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노인에서 다양한 신체기능 평가 기준을 통한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의 유병률의 차이 및 위험요인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 2005년 9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성남시에 거주 중인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관적인 인지기능 감소는 Subjective Memory Complain Questionnaire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신경심리평가와 한국어판 하세가와 치매척도를 통해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BC) scale,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 short physical performance scale, 악력 검사, 우측 슬관절 등속성 신전근력측정을 통해 신체기능을 평가하였고, 병력은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4년 뒤 동일한 대상군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초기 검사에서 치매로 진단받거나, 사망 및 기타 이유로 추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대상자는 최종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남자 189명, 여자 18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의 유병률은 7.5∼9.1%로 나타났다. 진단기준에 사용한 신체기능 지표에 따른 유병률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악력을 이용한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군의 진단결과와 보행속도를 이용한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군의 진단결과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은 교육기간, 신경인지기능 평가 중 word list recognition, 우울증 여부, ABC 점수와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 환자에서 추적검사 시 MMSE-KC점수의 감소폭이 더 컸으나, 치매 발생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단정하기에는 대상자수가 적어 한계가 있다. 결론 : 한국 노인에서 MCR증후군의 유병률은 기존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운동성 인지저하 위험 증후군의 진단을 위해 보행속도 평가가 어려울 경우 악력측정을 대체 진단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ed several times. Recently, several studies documented that prevalence of dementia is higher in elderly who present cognitive complaints and slow gait without dementia ...

Objectives :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ed several times. Recently, several studies documented that prevalence of dementia is higher in elderly who present cognitive complaints and slow gait without dementia and mobility disabilit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 analysis of motor cognitive risk syndrome in Korean elderly using varied diagnostic tools. Methods : Initial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s and medical history were assessed using Subjective Memory Complain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CERAD-K), Korean Version of Hasegawa Dementia Scale(HDS-K),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ABC) scale,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POMA), grip strength,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knee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scale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Health and Aging (KLoSHA) study from September 2005 to September 2006. Follow-up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identical methodology after 4 years. Exclusion criteria were dementia at initial survey, death, or follow-up loss at second survey. Finally, 372 participants, 189 men and 183 women, were enrolled this study. Results : Prevalence of motoric cognitive risk (MRC) syndrome was 7.5∼9.1% in this study. Diagnostic rates were similar among various physical functions as diagnostic indication. Diagnosis of MCR syndrome using grip strength and diagnosis of MCR syndrome using gait speed was highly correlated. MCR syndrome associated with education year, word list recognition among CERAD-K, depression and ABC score. Change of MMSE-KC score in MCR syndrome was higher than change of MMSE-KC score in control group, however we cann’t conclude association of MCR syndrome and dementia due to small sample size. Conclusion : Prevalence of motoric cognitive risk syndrome in Korean elderly is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If elderly cann’t walk, grip strength could be use alternative tool for diagnosing MCR syndrome.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