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관형사절의 체계를 검토하고 그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기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관계절과 명사구 보문으로 나뉘어 논의되었던 한국어 관형사절의 체계...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관형사절의 체계를 검토하고 그 통사적‧의미적 특성을 기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관계절과 명사구 보문으로 나뉘어 논의되었던 한국어 관형사절의 체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한국어 관형사절을 이해하는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고 관형사절을 분류한다. 그리고 새로운 체계 내에서 파악되는 한국어 관형사절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기술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의 흐름을 간단히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X/명사’ 구성에서 X를 명사의 보충어와 부가어로 판단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관형사절의 정의 및 범위를 논의하였다. 명사도 동사와 마찬가지로 의미론적 논항을 취할 수 있으며, ‘X/명사’ 구성에서 X가 명사의 의미론적 논항이면 보충어, 그렇지 않으면 부가어로 판단된다. 관형사절은 관형사형 어미가 결합하는 형태적 기준과 표제명사와 결합하여 명사구를 이루는 통사적 기준,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적 기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관형사절의 체계를 관계절과 명사구 보문으로 나누는 기존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어 관형사절의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의 관형사절을 관계절과 명사구 보문으로 나누는 것은 영어를 중심으로 한 생성 문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국어의 관형사절 중에는 관계절에도 명사구 보문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예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관형사절을 관형사절 내부에 표제명사와 공지시적인 통사적 공백이 상정될 수 있는가에 따라 관계절과 비관계절로 나누고, 관형사절이 표제명사의 보충어이냐 부가어이냐에 따라 보충어 관형사절과 부가어 관형사절로 나누는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관형사절의 통사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먼저 보충어 관형사절에 대해서 보충어 관형사절의 통사적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충어 관형사절이 표제명사와 주절에 대해서 보이는 통사적 의존성과 보충어 관형사절의 논항성 위계를 논의하였다. 부가어 관형사절에 대해서는 관계절의 관계화 제약과 관계절이 표제명사와 주절에 대해서 보이는 통사적 독립성을 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관형사절의 의미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보충어 관형사절은 표제명사의 의미론적 논항이기 때문에 의미역을 가질 수 있다. 보충어 관형사절이 가지는 의미역에는 내용역(Contents), 기준치역(Criterion), 대상역(Theme), 결과역(Result), 이유/원인역(Reason), 배경역(Background), 목적역(Purpose), 종차역(Differentia), 속성역(Property)이 있다. 그리고 관계절이 표제명사의 보충어로 해석될 수 있는 조건을 논의하였다. 한편 부가어 관형사절에 대해서는 관계절의 의미가 해석되는 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6장은 결론으로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