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structural semantic analysis, this study grouped verbs meaning “to separate a target object” into one semantic domain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lexical systems.
Separation verbs refer to the separation of one or more entit...
Based on structural semantic analysis, this study grouped verbs meaning “to separate a target object” into one semantic domain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lexical systems.
Separation verbs refer to the separation of one or more entities performed by an actor,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actor and the subject of separation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se verbs have various semant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separation, the results of separation, and the properties of the target of separation. Korean and Chinese separation verbs can be classified into a total of four semantic domains based on their basic meaning. First, separation verbs are divided into two semantic domains: separability verbs and divisibility verbs. Separability verbs consist of local separability verbs and global separability verbs, while divisibility verbs consist of cuttability verbs and grindability verbs. In each semantic domain, the verbs are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sub-domains of surface removal, precision, and direction.
From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lexical systems of separation verbs in Korean and Chinese, this study found that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was rare, and most were in one-to-many or many-to-one relationships. For instance, cuttability verbs are usually found in one-to-many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means that such verbs in the Korean language are broader in meaning than those in Chinese, which tend to be more focused. The lack of corresponding Chinese verbs to Korean, and vice versa, does not imply a gap in the system. This was expected because the lexical systems of unique separation verbs was examined, and Sino-Korean or compound words with similar meanings can be used as substitutes when corresponding verbs are unavailable.
This study enables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Korean and Chinese cognitive systems, and may be utilized to adopt a more effective approach in establishing lexical systems for separation verbs. The results can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Chinese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and Korean/Chinese translations.
Keywords: Separation verb, separability, divisibility, lexical system, comparative lexical analysis, semantic component analysis, distinctive feature.
한·중 나눔 동사 의미 대조 연구
본고에서는 구조 의미 분석의 바탕 위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동사 중에서 [대상을 나눔]의 의미 속성을 갖는 동사들을 하나의 의미 영역으로 묶어 그들...
한·중 나눔 동사 의미 대조 연구
본고에서는 구조 의미 분석의 바탕 위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동사 중에서 [대상을 나눔]의 의미 속성을 갖는 동사들을 하나의 의미 영역으로 묶어 그들의 기본 의미를 바탕으로 어휘 체계를 대조, 분석하였다.
나눔 동사는 행위자가 구체적인 대상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체로 나눔의 의미를 나타내며, 행위자와 나눔의 대상은 각각 별개의 독립적인 개체들임을 전제한다. 이들 동사들은 대상을 나누는 방식, 나눔의 결과 양상, 대상의 속성 등 요소에 의해서 다양한 의미 차이를 가진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나눔 동사들의 기본 의미를 중심으로 그 의미 영역을 분류하면 모두 4개의 의미 영역으로 분류되는데, 우선 나눔 동사는 분리성 동사와 분할성 동사 2개의 의미 영역으로 분류된다. 분리성 동사는 다시 국부적 분리성 동사와 전체적 분리성 동사로 나뉘고, 분할성 동사는 다시 절단성 동사와 분쇄성 동사로 구분된다. 각각의 의미 영역 안에서 또 [표면 제거성], [정밀성], [방향성] 등에 의해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상 나눔의 어휘 체계를 대조·분석한 결과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이루는 경우가 드물고, 일대다 혹은 다대일의 관계가 많다. 예를 들면 절단성 동사에서 한국어와 중국어는 일대다의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한국어의 절단성 동사들은 포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많은 반면, 중국어 절단성 동사들은 절단의 의미에 세부적인 의미 자질을 더하는 동사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빈자리나 중국어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빈자리가 나타나는데, 이는 체계상의 공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기본 의미를 바탕으로 고유어 나눔 동사들의 어휘 체계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당연한 결과로서 한자어나 복합어 혹은 확장의 의미에서 대상 나눔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들로 그 자리를 채울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한、중 두 민족의 대상의 나눔에 대한 인지 체계를 이해하고 아울러 나눔 동사의 어휘 체계를 수립하는 데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된 자료를 통해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나 한국인을 위한 중국어 교육, 한·중 번역 사업의 발전 등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제어: 대상 나눔 동사, 분리성, 분할성, 어휘 체계, 어휘 대조 분석, 의미 성분 분석, 변별적 의미 자질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