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世國語 複數漢字音 硏究 : 성모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중국에서 한자가 전래되면서 같이 들어온 한자음은 한국어에 정착하면서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동화되어 변화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한국에서 쓰이던 한자음은 원음의 특색이 약화되...

중국에서 한자가 전래되면서 같이 들어온 한자음은 한국어에 정착하면서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동화되어 변화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한국에서 쓰이던 한자음은 원음의 특색이 약화되고 한국어의 특색이 가미되어, 원음과는 구별되는 한국식 한자음의 체계가 성립되게 된 것이다. 이렇게 한국에 전래된 한자는 하나의 글자에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음을 갖는 것이 다수이나 둘 이상의 음을 가진 것들도 적지 않다. 이처럼 둘 이상의 음을 갖는 한자를 複數音字라 하고 이 복수음자가 지닌 여러 한자음을 複數 漢字音이라고 한다. 복수 한자음에는 한자음의 음절 구조 IMVE/T에서 음소들의 연쇄로 이루어진 음절인 IMVE에서 보이는 복수 한자음과 성조인 T에서 보이는 복수 한자음과 IMVE/T 모두에서 보이는 복수 한자음의 유형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 중세국어 문헌에서 나타나는 음소적 복수한자음과 성조상의 복수한자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런 복수한자음을 聲母(牙音, 舌音, 脣音, 齒音, 喉音, 半齒音, 半舌音)별로 정리하고, 그들의 양상을 조사하기로 한다. 이 작업을 통하여 중세국어 복수한자음이 복수 한자음이 발생한 원인은 십중팔구는 한어에 있는 것인데, 이를 밝히는 것은 이 논문의 범위를 뛰어넘는 일임. 이 논문에서 살펴야 할 것은 복수 한자음들의 구체적 사용 양상이 어떠한지를 살피고 의미와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어디에 연원을 두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임. 이를 통해서 한어에 기원을 둔 복수 한자음과 한어에 기원을 두었다고 보기 어려운 복수 한자음을 나누어 보는 것임. 이 과정에서 한어에 기원을 두지 않은 복수 한자음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복수 한자음이 발생한 원인을 생각해 보는 논의를 하게 될 것임. 관한 구체적인 해설을 통하여 중세국어 한자음의 음운 특징과 변화를 밝히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세국어 실제 음운체계를 잘 반영한 『六祖法寶壇經諺解』,『眞言勸供』,『三壇施食文諺解』,『飜譯小學』,『小學諺解』,『論語諺解』,『孟子諺解』,『大學諺解』,『中庸諺解』,『孝經諺解』,『訓蒙字會』,『千字文』,『新增類合』등 자류를 고찰한 문헌을 선정하였으며, 그 자류들에서 보이는 복수적 양상을 지니는 한자음을 중심으로 삼아, 그들을 정리하고 그 양상 형성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논문의 부록은 본문에서 고찰한 중세국어 복수 한자음들을 자표 형식으로 정리하여 작성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