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가(巫歌) 사설의 억양단위 연구 : 동해안 지역의 무가 사설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새로운 구어 자료인 동해안 지역의 무가 사설 전사 자료를 바탕으로 억양단위 내에서 구어의 통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

본고는 새로운 구어 자료인 동해안 지역의 무가 사설 전사 자료를 바탕으로 억양단위 내에서 구어의 통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하나는 억양단위 기본 개념 및 관련된 이론들을 재검토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구어의 억양단위가 통사단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인 무가 사설 전사 자료의 억양단위는 독백 부분 700개, 대화 부분 700개였으며 총 어절 수는 약 8,000개였다. 먼저 무가 사설의 억양단위 유형 분석을 통해 무가 사설 억양단위 중에 내용 억양단위가 차지하는 비율이 독백 부분 90%, 대화 부분 75%인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무가 사설이 구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포함한 새로운 구어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화 부분의 조정 억양단위 중 약 50%가 비언어 억양단위인 것으로 조사되어 의사소통을 유지시키는 비언어 억양단위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 억양단위와 통사단위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절(clause)로 이루어진 억양단위가 독백 부분 86%, 대화 부분 69%로 가장 많았다. 이는 머릿속 생각이 보통 절 형태로 표현된다는 기존의 주장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이때 절의 형태는 무가 사설이 독백 부분 또는 대화 부분일 때에 따라 각각 다른 모습을 나타냈다. 본고에서는 억양단위의 의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말차례단위‘의 개념을 도입했다. 이는 하나의 억양단위가 하나의 완결된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된다. 또한 그동안 `문장'을 억양단위에 그대로 대응시켜 구어를 연구했던 기존의 시각이 재고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억양단위 경계에서 실현되는 음조(Pitch) 및 경계 표지(Mark)도 함께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억양단위 경계에서는 하강(L)하는 억양 곡선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본고의 무가 사설이 경상도 방언의 특성을 강하게 나타낸다는 것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또한 경계 표지의 형태가 같아도 그 기능에 따라 경계 표지 마지막 음절(syllable)의 음조(Pitch) 지속 시간 및 기울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말의 의미를 분별하는 데 운율 요소가 관여하고 있다는 것과 관련된다. 경계 표지는 독백 부분에서 연결어미가 46%로 빈도수가 가장 높았고, 대화 부분에서는 종결어미가 52%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독백 상황에서는 말차례단위를 길게 갖고, 대화 상황에서는 말차례단위를 짧게 갖는다는 것과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는 결과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syntactical aspects of the intonation units in the Lyrics of Korean Shaman Song on the area of East Coast. There are two aspects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e is the re-examination of the fundamental con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syntactical aspects of the intonation units in the Lyrics of Korean Shaman Song on the area of East Coast. There are two aspects this research has been focused, one is the re-examination of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intonation unit and related theories, and the other is the correlation between an intonation unit and a syntactic unit. Transcribed database of the research consists of 700 monologue intonation units, 700 dialogue intonation units with a total of approximately 8,000 words. Firstly, among 90% of monologue parts and 75% of dialogue parts are mainly composed of substantive intonation units. In this regard, the fact that the Lyrics of Korean Shaman Song are valuable to be a material of spoken language studying proved. Besides, among 50% of regulatory intonation units are non-verbal in dialogue intonation units; it means that non-verbal intonation units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context. There are units consisting of clause which are the highest of 86% in monologue, 69% in dialogue in intonation units and syntactical units' co-relationship. It has largely coincided with the original theories where the thinking in brain is expressed for the form of clause. In the Lyrics of Korean Shaman Song, the form of clauses in the monologue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dialogu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Turn Construction Unit’ to analyze the semantic structure of an intonation unit.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a single intonation unit does not always show a single complete meaning. At the same time, it also indicates that the precious perspective carried out from the research on the Korean spoken language should be reconsidered through matching a sentence with an intonation unit as it is. Lastly, it is also examined pitches and marks actualized on the intonation unit boundary. The intonation found to be curved lowering(L) in the most of the intonation unit boundaries, which implies that the Lyrics of Korean Shaman Song on the area of East Coast strong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Gyeonsang Province dialect. However, although boundary marks were in the same form,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e pitch, duration time and incline of the last syllable of a boundary mark, depending on the function. I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metrical elements get involved in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words. As kinds of boundary marks, the conjunctive ending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46% in the monologue, and the terminative ending showed 52% of frequency in the dialogue. These findings explain that a turn construction unit gets longer in a situation of monologue, and it gets shorter in a situation of dialogu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