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문자 체계인 영어권에서는 중심와 주변에서 형태소 정보가 처리되지 않는 반면, 음절문자 체계인 중국어에서는 형태소 정보가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어의 경우는 음소문자 체... 음소문자 체계인 영어권에서는 중심와 주변에서 형태소 정보가 처리되지 않는 반면, 음절문자 체계인 중국어에서는 형태소 정보가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어의 경우는 음소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모아쓰기를 하기 때문에, 한국어 독자는 보다 집약적으로 시각정보를 수집하는 특성을 지녔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용언의 불규칙 활용형은 중심와 주변에서 음운정보 미리보기 이득을 배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읽을 때 중심와 주변에서 형태소 미리보기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불규칙활용 용언을 이용하여 경계선 기법으로 탐색해 보았다. 실험1에서는 표적 단어(예: 구워)에 대해 모양과 형태소가 모두 동일한 동일조건(예: 구워), 형태소가 동일한 기본형 조건(예: 굽다), 시각유사조건(예: 굼다), 무관조건(예: 죨어)가 각각 어떠한 미리보기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보다 시각유사조건의 시각적 유사성을 더 높여 실험을 조작하였다. 즉, 표적 단어(예: 굽기)와 모든 것이 같은 동일조건(예: 굽기), 형태소가 동일한 불규칙 활용형 조건(예: 구울), 시각유사조건(예: 굼기), 무관조건(예: 제듀)의 미리보기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동일조건, 형태소동일조건, 시각유사조건, 무관조건의 순으로 짧은 고정시간을 보였고, 특히 형태소동일조건이 무관조건보다 유의미하게 짧은 고정시간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를 읽을 때 중심와 주변에서 형태소 정보의 미리보기 효과가 나타남을 암시하는 결과이며, 이에 대해 정확한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