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국어) 영역 고전시가의 보기 활용 문항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ultimat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grow into the desirable subjects of literature by cultivating their literary competence, which consists of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producing literature and integrating literary value...

The ultimat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grow into the desirable subjects of literature by cultivating their literary competence, which consists of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producing literature and integrating literary values with one's life and the ability of making activ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One of its components is literary knowledge, which concern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appreciating, and producing literature and is the basis of learners' literary competence. Given that assessment in literary education is to assess the degree of fulfilling the educational objective that is the cultivation of literary competence, literary knowledge holds a place in the assessment, as well. In the domain of language(Korea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area of classical poetry makes no direct evaluation of literary knowledge, offers knowledge through <Contents of Article>, and pursues the assessment of ability to utilize them. It refrains from questions about simple knowledge based on memorization and assesses whether the students can actively accept a work by considering connections between the knowledge in <Contents of Article> and works in the questions or their total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knowledge and functions found in <Contents of Article> based on the <Contents of Article>-based questions in the area of classical poetry in the domain of language(Korea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ince 1994. The types of <Contents of Article> found in the area of classical poetr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nowledge about intrinsic and extrinsic elements, and the resulting categories included intrinsic elements, authors and their creative background, genres of work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intertextuality. Those categories were then used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ntents of Article>, which contribute to the conquest of limitations with the assessment situa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hich is oriented toward an escape from the old memorization-based education and a pursuit of improved thinking abilities. They are used in the assessment of creative thinking abilities emphasized in Korean education. Creative thinking abilities are developed in the processes of facing new problems and utilizing the old knowledge that has been accumulated. Since there is no beating the major premise applied to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ontents of Article> are used to offer comparable knowledge to the learners instead of accumulated knowledge. <Contents of Article> also work to narrow down the temporal distance inherent in classical poetry. They provide knowledge about the social structure, lifestyle, and world views of the times and make the meanings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works even clearer, thus promoting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hors and the read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types of knowledge and functions found in <Contents of Article> in the <Contents of Article>-based questions in the area of classical poetry, and it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assessment in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literary knowledge in the field of education.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함양시켜 바람직한 문학주체로 성장하게끔 하는 것이다. 문학능력이란 문학을 수용, 생산하고 문학의 가치를 자신의 삶과 통합하려는 태...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함양시켜 바람직한 문학주체로 성장하게끔 하는 것이다. 문학능력이란 문학을 수용, 생산하고 문학의 가치를 자신의 삶과 통합하려는 태도를 지니며, 문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문학능력의 구성 요소로 문학 지식을 들 수 있다. 문학지식은 문학을 이해하고 감상하고 생산하는 전 과정에 관여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형성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문학교육 평가가 문학능력의 함양이라는 교육 목표 달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학지식도 평가의 한 국면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국어) 영역 고전시가 분야는 문학지식을 직접 평가하지 않고 <보기>를 통해 지식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 평가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암기에 의존하는 단순 지식을 묻는 문제를 지양하고 <보기>를 통해 제시된 지식과 출제 작품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지, 즉 학습자의 종합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고자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1994학년도부터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국어) 영역 고전시가 분야의 <보기> 활용 문항을 중심으로 <보기>가 담고 있는 지식의 유형과 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고전시가 분야에 출제된 <보기>의 유형을 내재적 요소에 대한 지식과 외재적 요소에 대한 지식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재적 요소, 작가와 창작배경, 작품의 갈래, 사회·문화적 배경, 상호텍스트에 대한 지식으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기>의 기능을 규명하였다. <보기>는 암기 위주 교육으로부터의 탈피와 사고력 신장을 추구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 상황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력 평가에 활용되고 있다. 창의적 사고력이란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는 것과 기존에 축적된 지식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계발된다. 그러나 대학수학능력에 적용된 대전제를 어길 수 없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축적된 지식 대신 <보기>를 통해 이것에 비견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기>는 고전시가 갈래가 가지는 시간적 거리감을 해소한다. 사회 구조, 생활양식, 당시의 세계관 등에 대한 지식을 제시함으로써 작품의 의미와 주제 의식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게 하여 작가와 독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연구는 고전시가 영역 <보기> 활용 문항에서 <보기>가 내포하는 지식의 유형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문학 지식을 활용한 문학교육 평가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