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譯語類解》公元1690年是朝鮮時期司譯院所編輯的漢語分類詞典,朝鮮王朝的司譯院是主持朝鮮的主要領邦語言事務所和培養【譯官】的機構。鄰邦語言叫【四學】即漢學(漢學1393年),蒙...
《譯語類解》公元1690年是朝鮮時期司譯院所編輯的漢語分類詞典,朝鮮王朝的司譯院是主持朝鮮的主要領邦語言事務所和培養【譯官】的機構。鄰邦語言叫【四學】即漢學(漢學1393年),蒙學(蒙學1394年),清學(1393年),倭學(倭學1415年)、(15世紀的女真學1426年)根據《通文館志》1682年(肅宗8年—大約是1054年)由閔相國主持,漢語譯官(作翻譯的官員)慎以行、金敬俊、金指南等人開始編写,通過漢人的修訂,在1690年正式出版。該書的上下冊共設立了62個門類,收入了4586個詞條。体載上的特點是:在每個詞條下面用韓語標註了兩套漢語語音,後用韓語做了釋義。可貴的是出現的這些詞彙的特點居然就是當時生活的口語詞。
這本書可以說是第一本收入詞量較大的‘漢/韓’對譯詞典。朝鮮時代太祖二年1393年九月首次設立‘司譯院’,其目的是為了更好的致力于譯學政策,通過培養‘譯官’,司譯院把15世紀以來的“譯學書”進行了編劇發行,以學習漢語,滿洲語,蒙古語為目的的譯學書被大量使用并發行,而其中有一套叫做《類解》的詞彙集,即是《譯語類解》。所謂‘類解’就是把詞分類,但譯語類解的分類却並不這麼細分。我們可知在《譯語類解》中,他們以‘天、地、人’的範圍來進行詞彙分類。即是他們依靠宇宙是‘天、地、人’形成的性理學的思想對《譯語類解》的詞彙來進行分類。天—天文、時令、氣候等部門。地—地理部門。通過這些詞彙我們可以知道眾所周知世界是物質的,所以會有很多名稱,而物質名稱可以分為抽象的和具體的。具體名稱又可分為‘物體和人’,而物體又分為自然物體和人工物體。自然物體包括時空、天、地、動物、植物等。人分為身份,儀容等等,抽象名稱又可分為人思想、感情、事情、生活、語言、交往、文體、行業、政治、軍事、科教、工業等。《譯語類解》的詞彙看起來像是在一個層面進行,但相鄰的分類之間這有類似的語義範圍,从而可以看出多層次的分類體系,其中不可忽視的是其分類很接近於現代漢語‘詞彙場’這一理論的事實。
本論文將整理和討論有關《譯語類解》的探讨成果,其目的在於考察《譯語類解》與現代漢語詞彙上變化的過程。以下是本论文基本结构:
第一章,主要介紹《譯語類解》的作者,撰寫《譯語類解》的緣由以及《譯語類解》的主要內容与当前國內外學者對《譯語類解》一書的探讨近况。
第二章,主要介紹《譯語類解》的詞彙體例和分類的特點。第一節對該書的類門詞彙和詞條分類進行了說明。第二節主要介紹類門詞條讀音的變化體例。第三節主要介紹了類門詞彙的釋義體例。
第三章通過对《譯語類解》的詞彙分類體例,詞彙釋義體例的略论,将疑難詞彙歸納總結。第一節主要概括總結該書中所出現的疑難詞彙的詞條體例。第二節在所出現的疑難詞彙的詞條體例中有關轉變的成語詞彙詞條的體例,以數據庫略论的形式進行說明。
第四章主要介紹《譯語類解》詞彙和現代漢語詞彙的比較。第一節中對天道類詞彙中結構的關係進行比較說明。第二節介紹有關地理類詞彙中結構的關係比較說明。第三節是人物類詞彙中結構的關係和比較,並以數據庫略论的形式進行說明。
最後一章對《譯語類解》在詞彙體例、詞彙釋義、詞彙讀音體例轉變出現的方言以及明清時期商業詞彙的來源進行了說明並總結。第一節中對方言詞彙詞條釋義進行了說明總結。第二節參考《康熙字典》、漢典、《說文解字》等中國古代典籍對明清時期商業詞彙體例的特征做以說明總結。
《譯語類解》는1690년 조선 시대 사역원에서 편찬한 한어분류사전이다. 《通文館 志》에 근거하면,이 책은 1682년(숙종 8년,1054년) 한어 역관이었던 慎以 行、金敬俊、金指南 등이 함께 편...
《譯語類解》는1690년 조선 시대 사역원에서 편찬한 한어분류사전이다. 《通文館 志》에 근거하면,이 책은 1682년(숙종 8년,韩语论文题目,1054년) 한어 역관이었던 慎以 行、金敬俊、金指南 등이 함께 편찬한 후 다시 중국인의 수정을 거쳐 1690년에 정식으로 출판되었다.
본 책은 상∙하 두 권으로 되었고,총 62부류로 나누어,모두 4,586개의 단어를 수록 하였다.체재상의 특징은 단어 아래에 먼저 한국어로 두 가지의 중국어 병음을 표시한 다음,다시 한국어로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 책의 귀한 점은 책에서 나온 단어의 특징이 그 때 당시 사회에 쓰이던 구어 단어라는 점인데,이는 높은 학술적 가치가 있다.
본 책은 처음 대용량 “한(漢) 한(韓)”대역 사전이다. 조선시대 태조2년 1393년 9월에 처음 “사역원”을 설립한다. 그 목적은 역학 정책을 더 향상 시키기 위하여 “역관”을 키우는 것을 통해서 15세기부터의“역학서”를 창작 및 출판한다. 동시에 “사역원”에서 한학, 청학(15세기의 여진학), 맹학을 설립한다. 한어, 만족어, 몽골어를 배우는 목적으로 역학서를 대량 발행한다. 그 중에 한 권은 <類解>가 바로 < 譯語類解>이다.“類解”이란 단어를 분야로 나누지만 분류는 그다지 자세하지 않다. 그런데 우리는 그 당시 그들은 “천, 지, 인”의 범위로 단어의 분야를 나누었다. “천”-천문, 계절, 기후 등 부분. “지”-지리 부분. 이런 단어를 통하여 우리 인식한 세계는 물질인 세계이기 때문에 많은 명칭이 있다. 그래서 물질 명칭은 추상 및 구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구체 명칭은 “물체 및 사람”을 나누어 있고, 물체는 자연 물체 및 인공 물체를 나누어 있다. 자연 물체는 시공, 천, 지, 동물, 직물 등 포함한다. 사람은 신분, 용모 등등. 추상 명칭은 사람 생각, 사정, 생활, 언어, 왕래, 문체, 업종, 정치, 군사, 문화, 공업 등 나누어 있다. <譯語類解>의 단어는 보기에는 같은 층면에서 나누었는데 인접한 분류 간에도 유사한 어의 범위가 있다. 그래서 다양한 분류 체계를 보일 수 있다. 그 중에 간과할 수 없는 건 분류가 현대 “어휘장”과 거의 비슷한 사실이다.
본 논문은《譯語類解》에 대한 연구성과를 정리 및 토론 후《譯語類解》와 현대 어휘상의 차이 및 변화 과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제1장은 본 책의 저자 및 《譯語類解》를 쓴 이유 및 과정을 주로 설명하고 《譯語類解》의 주요 내용 및 현재 국내외 학자는《譯語類解》에 대한 연구현황을 소개 하였다.
제2장은 주로 《譯語類解》의 어휘 사례 및 분류의 특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제1절에서는 이 책의 분류 어휘 및 단어에 대한 분류요인을 설명하였으며,제2절에 각 분류 단어 발음의 변화사례를 소개 하였고,제3절에서는 주요 분류어휘의 뜻 풀이 사례를 소개하였다.
제3장은《譯語類解》의 어휘 분류 사례 및 어휘 뜻 풀이 사례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어려운 단어를 종합하여 귀납하였다. 제1절에서는 이 책에 나온 난제 어휘의 단어사례를 요약하여 귀납하였으며,제2 절에서는 난제 어휘의 단어 사례 중성어로 변화한 어휘의 사례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제4장은 주로 《譯語類解》에 어휘와 현대한어 어휘를 비교하여 소개하였다. 제1절에서는“천도류”어휘의 구성에 대하여 비교하고 설명하였으며, 제2절에서 는“지리류”어휘의 구성에 관련 비교를 설명하였고,제3절에서는 “인물류” 어휘의 구성을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제5장에서는 《譯語類解》에서 나온 어휘의 사례,韩语论文题目,어휘의 뜻풀이,어휘의 발음 사례의 변환 및 명청 시대 상업어휘의 원천에 대하여 귀납 설명하였다. 제1절에서는 방언(사투리)어휘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고 귀납하였으며, 제2절에서는 《康熙字典》,《漢典》, 《說文解字》등 중국 고서를 참고하여 명청 시대 상업 어휘 사례의 특징을 설명하여 귀납한다.
제6장은 “결론”으로 이상의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을 간단하게 기술하였으 며,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전망하였다.
이 외,부록에서는《역어유해》에 수록된 모든 어휘의 데이터베이스를 첨부 하였는데, 여기서는 모든 출현어휘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 하였고,현대 한어와의 비교를 위해 해당어휘의 현재 의미 및 용례를 제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