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intended to classify meronomy followed by spatial adjacency which places the subject on physical existence, and it is aimed to categorize pseudo-meronomy with the subject of abstract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close degree as partly ...
This is intended to classify meronomy followed by spatial adjacency which places the subject on physical existence, and it is aimed to categorize pseudo-meronomy with the subject of abstract concept in accordance with the close degree as partly and as a whole.
There are two existing types of meronomy; one that is divided into ‘canonical form’ and ‘facultative form’, and one that is divided into ‘attachment type’ and ‘detachment type’. The former type is subdivided into ‘fixed type’ and ‘movable type’. The latter type only subdivides the ‘detachment’ form into ‘separable type’ and ‘inseparable type’. However, it has been discovered that at the current dimensional viewpoint, the former type had changes in sense relation according to the essentiality. The lexicon that used to be categorized into 'facultative form' is now classified into 'canonical form' in order to becom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latter type is classified into total of three forms according to the combining state yet it seemed important to consider combining state more concretely.
This classified meronomy based on spatial adjacency in order to compensate the defects as shown above. Theoretically, the existing type comes from the fact that meronomy is the combined relation followed by spatial adjacency yet the type in this is the logic which has applied spatial adjacency directly into classification. Firstly, it has been divided into ‘internal adjacency’ and ‘external adjacency’ in order to make a clear division on the combination structure. Then, it split into ‘essential component’ and ‘non-essential component’ for each subdivision. In addition, each type was divided into ‘natural object’ and ‘artifact’ because some minor differences has shown in their combination form, function and sense relation. The articles that displayed changes in sense relation within the existing type also need this kind of classification because the ‘artifact’ takes up much part.
This also divided articles for pseudo-meronomy depending on the nature of lexeme, and made division by figuring out the close degree of meronomy. Though it is unable to make classification because of the ambiguous characteristic of pseudo-meronomy, it disclosed the nature of articles more concretely by presenting framework of the sentence which was made for each item.
In conclusion, this demonstrated that the new way of making division for meronomy has rationality to consider both the combination structure and necessity as well as to reduce the influence followed by changes in sense relation. Hence, it is to compensate the defects coming from the existing type and to regulate specific method of division for meronomy.
본고는 물리적 실재물을 대상으로 하는 부분관계를 공간적 인접에 따라 분류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대상으로 하는 의사부분관계를 부분과 전체의 긴밀도에 따라 분류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
본고는 물리적 실재물을 대상으로 하는 부분관계를 공간적 인접에 따라 분류하고, 추상적인 개념을 대상으로 하는 의사부분관계를 부분과 전체의 긴밀도에 따라 분류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부분관계에 대한 유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규범형'과 '임의형'으로 나뉜 유형과 '부착형'과 '비부착형'으로 나뉜 유형이 있다. 전자의 유형은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하위 분류된다. 후자의 유형은 '부착형'은 하위 분류되지 않고, '비부착형'만 '분리 가능형'과 '분리 불가능형'으로 하위 분류된다. 그러나 전자의 유형은 현시점의 차원에서 필수성에 따른 의미관계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발견했다. '임의형'으로 분류됐던 어휘가 현재는 '규범형'으로 분류되어야 합당하게 된 것이다. 또 후자의 유형은 결합 형태에 따라 총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 결합 형태를 고려해야 함을 느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공간적 인접을 토대로 부분관계를 유형화했다. 기존의 유형은 이론적으로 부분관계가 공간적 인접에 따른 결합관계라는 것에 기인한 것이지만, 본고의 유형은 공간적 인접을 유형화에 직접 반영한 논리이다. 먼저, 결합 구조를 확실하게 나누고자 '내부적 인접'과 '외부적 인접'으로 나누었고, 각각의 하위 분류로 '필수적 구성'과 '비필수적 구성'으로 나누었다. 또, 각각의 유형들은 '자연물'과 '인공물'로 따로 분류해놓았다. '자연물'과 '인공물'은 결합 형태, 기능, 의미관계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유형에서 의미관계의 변화를 보였던 항목들도 '인공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분류가 필요하다.
또한, 의사부분관계를 어휘소의 성격에 따라 항목을 나누고, 부분-전체관계의 긴밀도를 파악하여 긴밀도별로 분류했다. 의사부분관계의 모호한 성격 탓에 유형화할 수 없지만, 항목별로 해당하는 문장틀을 만들어 제시함으로써 항목의 성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고의 부분관계에 대한 새로운 분류 방식은 결합 구조와 필수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합리성과 의미관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안정성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유형에서 오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부분관계에 대한 명확한 분류 방법을 규정하고자 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