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학습자 언어 연구 : 오류 표지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그간 한국학습말뭉연구에서 보여준 오류 표지 세트가 연구자별로 차이가 있는데 각 오류 표지 세트의 특징이 어떠한지 실제적으로 살펴봄으로학습자 오류 주석 체계...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연구에서 보여준 오류 표지 세트가 연구자별로 차이가 있는데 각 오류 표지 세트의 특징이 어떠한지 실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학습자 오류 주석 체계의 쟁점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 대상은 조철현 외(2002), 김정숙?김유정(2002), 이정희(2003)의 오류 표지 세트를 사용하여 분석한 학습자 언어이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대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 기존 연구의 흐름과 한계점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한 언어 연구에서 학습자 언어를 어떻게 분류, 판정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밝혔다.
2장에서는 학습자 언어와 학습자 말뭉치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리했다. 제2언어에서 학습자 언어는 독자성, 체계성, 변이성, 학습자 전략, 화석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변이성은 오류 양상을 통해 관찰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확인했다. 또한 학습자 말뭉치는 학습자 언어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도구임을 알았다.
3장에서는 조철현 외(2002), 김정숙?김유정(2002), 이정희(2003)의 오류 표지 세트의 특징을 살폈다. 그리고 학습자 언어 오류 판정의 기준으로 문법성과 용인가능성 외에 텍스트 결속성이 추가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조철현 외(2002), 김정숙?김유정(2002), 이정희(2003)의 오류 표지로 학습자의 어휘 오류와 문법 오류의 실제 분석을 진행하여 그 특징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에 기반해서 학습자 오류 주석 체계의 쟁점을 정리했는데, 오류 태그의 문제점으로 오류 태그 세트의 중첩성, 오류 태그의 비체계성, 담화 오류 표지 연구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오류 판정의 문제점은 오류 판정의 주관성, 오류와 실수의 구분, 구어 오류 판정의 복잡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오류 표지의 단위를 문장에서 텍스트로 확장할 것을 제안하며 오류표지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문장 단위로 오류의 유무를 확인하기 어려운 지시부사, 문장부사, 의지감탄사, 입버릇 및 머뭇거림을 어휘 오류에서 담화 오류로 그 층위를 이동시켰고, 문법 오류에서는 보조사와 격조사 일부, 연결어미를 담화 오류로 재분류했다.
6장에서는 논의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정리했다.
본 연구는 그간 학습자 언어 분석 연구가 문장 이하의 단위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기존 연구와 달리 문장 이상의 단위에서 학습자 언어 분석이 필요함을 기존 학습자 말뭉치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히고, 오류 주석 체계의 쟁점을 정리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 세트는 담화 오류 층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요구된다. 이 자료는 담화 오류 표지 세트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ssues of learners' error tagging systems by discussed each researcher's error tagging systems practically because each researcher has different error maker of Korean learner corpus. An object of the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ssues of learners' error tagging systems by discussed each researcher's error tagging systems practically because each researcher has different error maker of Korean learner corpus. An object of the study is learner language that is analyzed with Jo Cheol-Hyun et al.(2002)'s error marker, Kim Jeong-Sook?Kim U-Jeong(2002)'s error marker and Lee Jeong-Hee(2003)'s error marker.
In the first chapter,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then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ir tendency and limits. Thus it was deemed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o classify learner language and how to judge it in studies on learner language of Korean learner corpus.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 of learner language and learner corpus was theoretically defined. In second language, the features of learner language are identity, systemicity, variability, learner strategies and fossilization. The variability is monitored with error aspects. And the study realized learner corpus is an specific and empirical tool for the study of learner language.
In the third chapter, the study examined error marker characteristics of each researcher, Jo Cheol-Hyun et al.(2002), Kim Jeong-Sook?Kim U-Jeong(2002) and Lee Jeong-Hee(2003). And the study suggested that textual cohesion is added to the criterion of error judge.
In the forth chapter, issues of learners' error tagging systems were arranged. The problems of error tagging are doubleness of error marker set, un-systemicity of error tagging and necessity of study about discourse error marker. And The problems of error judge are subjectivity of error judge, separation of between error and mistake and complexity of error judge about spoken language.
In the fifth chapter, the study suggested a unit of error marker is enlarged from a sentence to a text and showed how to do it. Also a demonstrative adverb, sentence adverb, volitional interjection, a way of saying & hesitation, auxiliary particle, parts of case particle and conjunctive ending are reclassified into discourse error.
In the sixth chapter,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n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Previous studies on analyzing learner language were interested in a unit of a sentence focused on vocabulary and grammar. But this study verified that learner language need to be analyzed with a unit of understanding more than a sentence. We need to study how to form layers of discourse error in error set of Korean learner corpus. This study is thought to be basic data on how to make discourse error maker.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