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국어의 문장부사는 부사가 담당하는 의미?기능에 따라 양태부사와 접속부사로 대별되는 체계로 논의되어 왔다. 그런데 문장부사들 중에는 양태부사로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접속부...
지금까지 국어의 문장부사는 부사가 담당하는 의미?기능에 따라 양태부사와 접속부사로 대별되는 체계로 논의되어 왔다. 그런데 문장부사들 중에는 양태부사로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접속부사로도 볼 수 있는 예들이 존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들을 부사의 어떤 하위 범주에 소속시키기가 어렵다는 점이나 양태부사와 접속부사의 경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이 지적된 적이 있지만 이러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연구는 상대적으로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고는 양태와 접속의 의미?기능을 모두 담당하는 특이한 부사들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부사들의 범주를 판별하기보다는 부사를 통하여 양태와 접속이 동시에 실현되는 현상을 기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먼저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부사들 중에서 양태와 접속을 모두 확인할 수 있는 부사들을 선별하여 ‘양태접속부사’로 명명하였다. 양태접속부사의 유형은 부사의 세부적인 의미적 특성에 따라 다시 척도 형성 부사류, 부연 부사류, 양보 부사류, 전환 부사류로 나누었다. 척도 형성 부사류는 부가의 부사류와 정정의 부사류로 다시 구분하였다.
양태접속부사는 통사?의미적으로 양태부사와 접속부사의 성격을 모두 지니는 동시에 이 부사들만의 독특한 성격도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양태접속부사의 가장 큰 의미적 특징은 해당 부사가 쓰인 문장의 의미가 온전하게 해석되기 위하여서는 전후 맥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문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선행문 또는 후행문이 의미적으로 연결이 되는데, 이 역할을 양태접속부사가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척도 형성 부사류는 척도에 의해, 부연 부사류?양보 부사류?전환 부사류는 전제가 작용하여 접속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행문과 후행문의 관계에 대한 화자의 감정 및 평가가 부사를 통하여 실현되고 있다는 점에서 양태접속부사는 감정 양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부차적으로 의외성과 증거성 등의 의미 성분도 포착되었다. 또한 그동안 양태부사의 양태는 후행 단위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양태가 그에 선행하는 언어 단위에까지 작용을 하는 예가 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양태접속부사의 통사적 특성에 관하여서는 특별히 통사적 제약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접속부사는 선행절에 제약이 있고, 양태부사는 후행절 서법에 제약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양태접속부사가 양태부사와 접속부사의 성격을 모두 지닌다고 가설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 가설을 따른다면 양태부사와 접속부사와는 다르게 양태접속부사의 통사적 제약은 선행절과 후행절 모두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양태접속부사의 선?후행절 제약과 관련하여서는 부사의 양태 관련 의미, 즉 감정 양태와 의외성, 증거성 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 유형 안에서도 부사에 따라 선행절 제약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해당 부사가 지니는 고유한 의미가 양태 및 접속의 정도성 차이에 영향을 주고 이에 따라 통사적 제약까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었다.
부사의 의미는 변화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의미·화용적 문법화 및 주관화 이론을 몇몇 양태접속부사에 적용해 봄으로써 양태접속부사의 가변적 특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또한 다의성을 지니는 부사들을 통하여 양태?접속의 정도성이 의항마다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논하면서 이러한 부사들은 교차분류로 처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부사의 양태성이나 접속성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혹은 의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더 많은 부사들이 양태접속부사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