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을 위한 허난설헌과 주숙진 시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Under Confucianism culture, women wrote poems and expanded their talents which were not allowed during Korean and Chinese Song Dynasty. In this absurd fabric of society, Heonanseolheon and Zhu Shuzhen wrote their poems constantly in order not to lose ...

Under Confucianism culture, women wrote poems and expanded their talents which were not allowed during Korean and Chinese Song Dynasty. In this absurd fabric of society, Heonanseolheon and Zhu Shuzhen wrote their poems constantly in order not to lose their prides. In this , I will describe the lives of two women writers, examin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compare those Han poets from heonanseolheon's <Nanseol collection> and Zhu Shuzheng' <Sorrow collection> in order to show its literary by comparison.
During the Chapter Ⅱ , it describs Heonanseolheon and Zhu Shuzhen' lives, thinking and literature background. Heonanseolheon and Zhu Shuzhen lived in the absurd, feudal ethics country that is blocked up, so that discrimination despite being gifted a lot like their lives were strung ignored. Regulation, after all versatile women lived in the feudal group followed their talents.
The chapter Ⅲ significantly is compared and divided into four themes analyzed. First, the beauty and the longing for love, the sorrow of parting, such as 'coalition' in the case of a work song, the moth ethical feudal was both of two poets and a boldly despite longing for affection and admiration to describe and shame, curiosity and expectations for the expression of emotions to be spirited.
'Coalition' to sing Nanseolheon usually through the work of women like Shy Love style with silver but could see that. Way throbbing heart because love is an illusion of dreaming. Loved ones and pick the lotus lush mokran where apostasy is like riding yeonbap love was to raise awareness of love's desire.
In the absence of any of the frustration and loneliness, they were like any woman longing for love.Heonanseolheon through the city due to lack of any pain, trapped in a closed sireum for life, ill-treatment of women who suffer just because of the sadness and resentment song. Also Zhu Shuzhen relied primarily by natural objects and scenery, which were singing emptiness and loneliness, the pain of parting sorrow and loss, mainly love songs and poetry. In this point, there is a difference from heonanseolheon. Guess the husband and the presence of extra-marital feud affection towards breaking the taboos of the time throughout the city boldly seeking affection were in the process suffered several work experiences and emotions are depicted in blue.
"An expression of self-consciousness and desire for the world over part two writers to represent their integrity and self-esteem by the proper use of their excellent character, which is poetic talent shows and beauty. Both of them are state-dependent women and patience, which is the only force in the feudal society affluent childhood spent with no shortage of excellent poetic talent, and with the appearance of fine contemporary women envy anyone, but women were common.
Nanseolheon, this "orchid" aimed to find out if superior and fine and good, but not to own sadness and disappointment about the world and social conditions, oysters which were not self-conscious to sing. On the other hand, Zhu Shuzhen used plum and bamboo, lotus flower through the cold gaze of the Society for women in writing with a passion for writing to express the pride.
Nanseolheon speaker in the real world of work and the number of conflicts due to the incomplete factors beyond reality always dreams of world over. Open through the mysterious world of dreams from reality by showing dwarf expanding the consciousness of self. As a woman sitting outside just waited a passive attitude and desire to actively exposing their taste was expressing pride.
Finally, the addition of those female emotion works, those content about parents, siblings, children, and the same flesh and blood, and of longing for home are left in their work as well. Frustration and longing and sorrow always appeared after waiting. They were adapted to the process of women in feudal society to taste defeat in their hearts that remained in the Han poems. However, the nature of the two writers are a bit different from the nostalgic feel. In particular, women was in male dominated, but the experience of the literary point of view, the delicacy and softness of a rich literary property was also good to achieve its literary-looking artist to complete a number of outstanding creative work by Korean-Chinese (韩 中) valuable literature.

유교문화권 내에서 여성이 시를 짓고 자신의 재능을 펼쳐 보인다는 것은 조선과 중국 송대 여성들에게 허용되지 않는 일이었다. 허난설헌과 주숙진은 이처럼 불합리한 사회 구조 속에서 자...

유교문화권 내에서 여성이 시를 짓고 자신의 재능을 펼쳐 보인다는 것은 조선과 중국 송대 여성들에게 허용되지 않는 일이었다. 허난설헌과 주숙진은 이처럼 불합리한 사회 구조 속에서 자존감을 갖고 스스로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글을 썼던 여성 문인들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두 여성 문인의 삶과 사상적 배경을 살펴본 후, 허난설헌의 시문집 『난설헌집』에 수록된 한시 작품과 주숙진의 문집인 『단장시집』에 실린 한시와 사 작품들을 대상으로 비교·고찰을 시도하였고, 공통시어와 표현미를 비교함으로써 그 문학적 가치를 규명하였다. 특히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한국의 난설헌과 중국의 주숙진을 대상으로 그 시어 및 문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한·중 여류시인들의 작품과 관련하여, 시어 및 문화·예술·시대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를 교육하고, 한국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제Ⅱ장에서는 허난설헌과 주숙진의 생애 및 사상·문학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두 작가는 다른 시대, 다른 나라에서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남성 중심의 부조리한 시대, 봉건적 예교로 꽉 막힌 나라에서 살아야 했던 점, 그리하여 뛰어난 재능에도 불구하고 차별받고 무시당했던 점들이 닮아 있었다. 또한 생활배경, 출신, 운명, 사후 작품들이 불탄 점, 다른 사람들이 작품을 수집·정리하여 남긴 점 등이 비슷하였다. 이들은 다재다능했지만 여성에게 온갖 규제가 뒤따랐던 봉건시대에 살았기에 그 재능을 꽃피우지 못하고 봉건적 굴레에 부대끼며 한 많은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제Ⅲ장에서는 두 작가의 작품을 크게 4가지 주제로 나누어 비교·분석해 보았다. 우선 사랑의 아름다움과 그 갈망, 이별의 슬픔 등 '연정'을 노래한 작품들의 경우, 봉건예교가 엄격했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두 시인은 대담하게 애정에 대한 갈망과 동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부끄러움, 호기심과 기대감 등 ‘애정’과 관련된 정서를 분방하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주숙진은 ‘斷腸의 시인’이라 불릴 만큼 애정의 상실로 인한 근심과 슬픔을 담은 작품이 대부분이었는데, 남편과의 불화로 인한, 혼외 대상을 향한 애정시로 추측되는 바, 그 과감함이 선구적이었다. 허난설헌이 사랑에 대한 동경과 기대, 기다림을 주로 노래했다면 주숙진은 이별의 슬픔과 애정상실의 고통을 주로 노래했다는 점이 다르다.
규방 여인으로서 느끼는 외로움과 애상의 감정을 노래한 ‘규방의 고독과 슬픔’에서 허난설헌은 임의 부재로 인한 독수공방의 고통, 갇혀 있는 폐쇄적 삶에 대한 시름, 여자라는 이유로 겪어야 했던 부당한 대우에 대한 슬픔, 그리고 원망을 노래하였다. 반면에 주숙진은 주로 자연물이나 경치에 의탁해 공허함과 쓸쓸함을 노래하였으며 특히 춘경이나 추야를 시간적 배경으로 하여 외로움과 기다림을 형상화하였다. 난설헌과 주숙진은 사대부가의 자녀로 태어나 빼어난 용모와 다재다능한 재능을 지닌 규방의 여인으로서 상당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불행한 결혼생활로 인해 고통과 시련을 겪었다. 이러한 연유로 허난설헌과 주숙진은 임의 부재에서 오는 폐쇄된 규방 속에서의 답답함과 고독함, 사랑을 갈구하는 여인의 애달픈 고뇌를 형상화하였다.
‘자의식의 표출과 이상 세계에 대한 갈망’ 부분에서 두 작가는 고결함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소재를 통해, 자신의 뛰어난 시적 재능과 아름다움을 노래하였다. 난설헌은 蘭과 오동나무·봉황새에 빗대어, 주숙진은 매화와 대나무·연꽃을 통하여, 우월하고 뛰어나지만 자신을 알아봐주지 않는 세상과 세태에 대한 안타까움과 실망, 굴하지 않는 자의식을 노래했다. 또한 난설헌이 유토피아적 이상세계인 신선세계를 통해 현실적 고통을 승화시킨 반면, 주숙진은 여성 글쓰기에 대한 차가운 시선에도 불구하고 글쓰기에 대한 열정과 간절함을 통해 자부심을 표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작가는 여성적 ‘한’ 외에도 부모, 형제, 자식과 같은 혈육 및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소재로 한 작품들도 남겼다. 난설헌이 그리워한 대상은 자식과 형제, 고향이었고 주숙진은 부모와 고향을 중심으로 자신의 감정을 노래하였다. 하지만 두 작가가 느낀 그리움은 그 성격이 조금은 다르다. 난설헌의 경우 더 이상 만날 수 없는 혈육에 대한 애끓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들이 많은 반면, 주숙진은 즐겁고 행복했던 시절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를 노래한 작품들이 많았다. 난설헌이 주숙진보다 굴곡진 삶을 살았기 때문에 이런 차이가 발견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봉건예교가 엄했던 시대에 난설헌과 주숙진은, 대담하게 여자로서의 꿈과 애정에 대한 주장을 문학을 통해 표현하였고, 이를 통해 시대의 부조리와 편견에 저항했던 선각자였다. 특히 남성 주도의 문학계에서 여성만의 체험과 관점, 섬세함과 부드러움으로 문학적 재산을 풍부하게 하였고, 그 문학적 성취 또한 훌륭하여 남성 작가 못지않은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들을 다수 창작함으로써 한중(韓中)문학의 귀중한 자산이 되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