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과학용어 비교 고찰 : 천문학 용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s of the thesis ar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linguistic habits, the thinking of the native tongue, the acceptance of foreign word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s on the base of astronomical terminology. The purposes are also in...

The purposes of the thesis ar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linguistic habits, the thinking of the native tongue, the acceptance of foreign word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s on the base of astronomical terminology. The purposes are also include that such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e cultual difference and national sentiments between two peoples.
In order to carry the purpose, the data base of 4,058 astronomical terms, which are commonly included in the recently published astronomical terminology edited by Korean and Japanese Astronomical Societies. The terminology is classified by mono and mixed terminology. The mono terminology is defined as the terminology composed by only one language, while mixed terminology is defined as that composed by more than two languages. The mono terminology also classified by native, chinese, and foreign terminology and the mixed terminology is classified by native/chinese, native/foreign, chinese/foreign, and native/chinese/foreign terminologies. The differences of the statistical distributions of each terminologies are used to understand mentioned above.
The all Astronomical Societies of the two countries adopt the use of the plural terms, which are the same meaning. Those terms are also classified independently and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singular on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iodic variation of languages, the distribution of astronomical terminology is compared to that of IT presented by Lee (2006).
The general distribution of each class of terminology between two countries shows nearly similar aspects. The natives of Korean and Japanese are distributed 5.5 % and 4.3 %, respectively, which are too low. The distribution of foreign terminology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native. The of foreign terminologies of Korean and Japanese are distributed 7.5 % and 10.4 %, respectively, while chinese ones 87 % and 85.3 %, respectively.
The higher distribution of chinese terminology in each countries is thought to have its enough number of letters strong synthesis with more than two characters to express various phenomena. While the lower distribution of native terminology in the two countries is related to the limit of variety to express the complicate astronomical phenomena and/or actually unuse of native tongue. Though the distribution of foreign terminology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native, its absolute distribution is no high enough. Nevertheless, the foreign terminology is couldn't help but expropriated, since some terms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couldn't be transformed to native or Chinese one. Especially, the globalization of English is also responsible to increase the portion of foreign terminology.
The aspect to adopt the plural terminology shows much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ts distribution is 9 % according to 364 terms in Korea, while 2 % according to 83 terms in Japan. Korea adopt maximum 4 term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while Japan do 3. Among total 83 plural terminology in Japanese Astronomical terminology, 82 are adopted only two terms of the same meaning, while adaption of 3 is only one. This indicate much difference of linguistic habits between two country.
Astronomy is the science of long history, while IT is recently birthed one. This indicates that in astronomical terminology in Korea and Japan is influenced from China long time ago, while from western world in recent. However IT terminology is seemed to have influenced mostly from western world. The comparison of the two terminologies is well reflected. Foreign terminology is most abundant in IT terminology in each country.
The important works of the thesis are the data base of the astronomical terminology of Korea and Japan, and also to present the distribution of each linguistic class quantitatively.

본 논문은 한 · 일 양국의 천문학 용어비교하여 양국의 언어사용 습관과 고유어에 대한 인식, 외래어의 수용양상에 대한 자세 등을 알아보고 이것이 양국의 문화, 국민정서와 어떠한 연...

본 논문은 한 · 일 양국의 천문학 용어비교하여 양국의 언어사용 습관과 고유어에 대한 인식, 외래어의 수용양상에 대한 자세 등을 알아보고 이것이 양국의 문화, 국민정서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韓國天文學會와 日本天文學會가 가장 최근에 편찬한 천문학 용어집에 수록된 공통용어 4,058개를 발췌하여 이를 어종별로 분류하였다. 어종의 분류는 크게 단종어와 혼종어로 분류하였으며, 단종어는 고유어, 한자어 및 외래어 등 3종으로, 혼종어는 다시 고유어/한자어, 고유어/외래어, 한자어/외래어 및 고유어/한자어/외래어 등으로 하여 총 7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양국의 천문학 용어집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 용어에 대해서도 어종별로 분류하고 그 통계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또한 양국의 과학기술용어가 시대적으로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고에서 연구한 천문학 용어와 IT용어(李美淑, 2006)의 어종별 분포 비중도 상호 비교하였다.
천문학 용어의 어종분포는 한국과 일본에서 비슷한 어종별 분포를 보이고 있다.
한일양국의 어종별 분포를 살펴보면 고유어의 분포에서는 한국은 전체 비율 중 한국이 5.5%, 일본 4.3%로 양국이 모두 가장 낮은 어종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 다음으로 낮은 분포비중을 나타내는 것은 외래어로 한국이 7.5%, 일본이 10.4%에 이른다. 이와는 달리 한자어의 분포비중은 한일 양국이 모두 매우 높은 분포를 보여 한국이 87%, 일본이 85.3%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극히 높은 분포를 보인다.
이는 과학기술용어가 가지는 특징으로 보이는데 양국이 모두 한자어의 분포가 높은 이유로는 한자어가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인 풍부한 조어력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이나 현상을 간단명료하게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낮은 고유어의 활용분포는 양국이 모두 과학기술의 전문용어를 표현할 수 있는 고유어를 가지고 있지 못하거나 실제로 고유어가 존재하더라도 실제 활용되지 않는 경우와 복합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순수한 고유어만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다. 외래어의 경우에는 한일 양국이 모두 고유어보다는 높은 분포를 보이나 전체로 보면 그다지 높은 분포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현대과학기술용어의 특성상 고유어나 한자어로 적당하게 번역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해당 고유어나 한자어가 있더라도 그 번역의 어려움이나 번역시 고유한 의미의 전달 어려움 등이 있다. 또 서양에서 새롭게 발달하고 있는 과학기술로 인해 새로운 용어의 지속적인 유입과 세계 공용어로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영어세력의 영향으로 영어권 외래어는 더욱 더 커져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용어의 수용양상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경우 복수용어의 허용수치는 전체의 9%에 이르는 364어인데 반해, 일본의 경우는 2%인 83어에 불과하다. 또 복수로 인정되는 용어에서도 한국은 기준어 1개어에 대해 최대 4개어 까지 허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일본의 경우에는 98.8%에 이르는 82개어가 2개의 복수용어이고 나머지 1개 용어만 3개 어를 인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논자는 한국과 일본의 언어습관에 관한 큰 차이를 찾을 수가 있었다.
또한 과학기술용어에 있어서 시대변화에 따른 어종구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오랜 역사를 지닌 천문학 용어와 가장 최근에 발달하고 있는 IT용어와의 비교를 통해서 논자는 어종의 구성에서 눈에 띠는 변화로 한자어의 분포비율이 극히 낮아진 반면 외래어가 높은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어종변화의 분포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언어사용에 비친 국민정서의 인식과 함께 문화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