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시험의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을 밝히고 두 시험이 가지는 단점 및 한계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방...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시험의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을 밝히고 두 시험이 가지는 단점 및 한계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는 한국어 능력 측정 도구로서 그동안 양적인 성장을 거듭한 두 시험이 질적인 면에 있어서도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한국어 능력 측정 도구로서의 면모를 갖추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언어 평가의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았고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두 시험이 형식적 면과 내용적 면에 있어서 타당한지, 어떠한 단점과 한계점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형식적 면에 있어서는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등급 체계, 평가 영역, 합격 기준,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고 내용적 면에 있어서는 문항 유형, 어휘, 텍스트 주제로 나누어 두 시험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항 유형은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문항틀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어휘는 조남호(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의 분류에 따라 두 시험에 나타난 어휘를 등급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에 나타난 의성어, 의태어, 사자성어, 관용구, 속담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두 시험의 읽기 영역에 나타난 텍스트의 주제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능력시험에는 말하기 영역이 없는데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앞으로 말하기 평가를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이다. 한글능력검정시험은 고급 단계인 1, 2급에만 쓰기와 말하기 영역이 있는데 초급과 중급 단계에도 쓰기와 말하기 영역을 마련하여 급별 수준에 맞는 한국어능력을 측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어능력시험은 공개된 문항틀을 기준으로 문제가 출제되지만 한글능력검정시험은 문항틀이 공개되어 있지 않고 대문항과 문항 수, 문항 유형이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글능력검정시험은 문항틀을 공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조남호(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의 분류에 따라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에 나타난 어휘를 분류해본 결과 두 시험 모두 기초 학습용 어휘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어휘가 30%에 가까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실용성의 측면에서 적절한 평가 도구로 입증받기 위해서는 두 시험 모두 실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의 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두 시험에 나타난 의성어, 의태어, 사자성어, 관용구, 속담을 비교 분석한 결과 그 비율은 한글능력검정시험이 한국어능력시험에 비해 월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시험 자체를 기피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한글능력검정시험은 의성어, 의태어, 사자성어, 관용구, 속담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읽기 영역에 나타난 텍스트의 주제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은 한국어능력시험에 비해 주제의 폭이 좁았다. 이것은 읽기 영역의 문항 수 자체가 굉장히 적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한글능력검정시험이 학습자의 읽기 수행 능력을 제대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읽기 영역의 문항 수를 늘리고 다양한 주제를 다룬 읽기 텍스트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시험의 내용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을 밝히고 두 시험이 가지는 단점 및 한계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구체적인 개선 방안 제시에는 이르지 못 하였기에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또한 추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한국어능력시험과 한글능력검정시험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form of the two tests and suggest a direction to remedy their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mutuall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