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심리용언 구문 유형 대조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어휘가 가지는 문법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중 심리용언구문 유형대조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게 심리용언구문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에 있다. 지금까지...

연구의 목적은 어휘가 가지는 문법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중 심리용언의 구문 유형대조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게 심리용언의 구문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에 있다.
지금까지 한·중 심리용언 대조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심리형용사의 유의어 의미 변별에 관한 연구와 문장 성분으로서 문법적 특성을 대조 분석한 연구가 있었다. 구문 유형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어지긴 했으나 한국어 구문 유형 하나에 대응 가능한 중국어 구문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것에 불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으로 대응하는 심리용언을 등가로 삼아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심리용언 구문을 중국어 심리용언 구문과 대조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용언 구문의 오류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심리용언은 의미적으로 대응하더라도 품사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격조사 ‘이/가’와 부사격 조사 ‘에’, 여격 조사 ‘에게’가 목적격 조사 ‘을/를’과 대치하는 오류가 나타날 수 있으며 도구격 조사 ‘으로’는 유표적으로 대응되는 구문이 없어 이해와 표현에 있어 모두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중국어 심리용언 구문은 사역문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의 표현에 있어서 과도한 사동 표현의 사용으로 중국어투의 문장을 생성할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이밖에 한국어는 어근에 어미가 붙는 교착어이며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어순으로 문법적 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적절한 보문 유형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심리용언에서는 한 문장 안에 두 개의 용언이 나타날 수 있기에 한국어의 표현에 있어 이로 인한 부정적 전이의 가능성이 있으며 경험주의 인칭 제약에 있어서도 차이점이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오류에 대한 예측만 하고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하지 못했기에 대조 분석으로서의 한계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tence structure types of psychological predicat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on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ntence structure of psychological pred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entence structure types of psychological predicat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on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ntence structure of psychological predicates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re has been little literature written on contrastive studies of the psychological predicates in Korean and Chinese. However, som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meaning of synonyms of psychological adjectiv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djectives as sentence constituents. Some studies on the sentence structure types have been conducted but those have simply contrasted and analyzed the distinction between Chinese sentence structures and the corresponding sentence structure type in Korea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contrasted the sentence structures of psychological predicates in Korean to those in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nguistic typology by equating semantically corresponding psychological predicates. Based on this process, this study has forecasted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produce errors in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psychological predicates.
Although the psychological predicates of both Korean and Chinese semantic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 can be differences in their parts of speech. Accordingly, there can be corresponding errors between propositions including ‘i(이)/ga(가)’, a nominative case marker to ‘e(에)’, an adverbial case marker, and ‘ege(에게)’, a dative case marker to ‘eul(을)/reul(를)’, an objective case marker.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is no marked matching sentence structure for ‘euro(으로)’, an instrumental case marker, can cause difficulties in it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Moreover, the sentence structure of psychological predicates in the Chinese language can be expressed as a type of causative sentences, which can mak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the Chinese way of speaking by using causative expressions excessively for the Korean language description. It has also been predicted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have a hard time using appropriate complemental types (complementizer) since the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n which endings are attached to the root of a word and Chinese is an isolated language in which word order expresses grammatical relation. Lastly, when it comes to the psychological predicates of Chinese, since one sentence can have two predicates, it causes restrictions on person of experiencers and the learners can also make negative transference when using the psychological predicates in Korean.
Despite all the results revealed abov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its contrastive analysis because it has mostly focused on forecasting errors rather than suggesting empirical evidenc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