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만 5세아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 및 양육참여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을 통해 두 나라의 자녀양육에 대한 아버지 역할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하여 오늘날 한국...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만 5세아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 및 양육참여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을 통해 두 나라의 자녀양육에 대한 아버지 역할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하여 오늘날 한국과 중국의 만 5세아 아버지의 양육 역할지각 및 양육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5세아 아버지의 효과적인 양육역할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 사용한다. 한국과 중국의 유치원 교사와 원장에게 검토를 의뢰한 다음에 만든 한국 아버지를 위한 예비설문지를 먼저 한국어로 제작하고, 중국 아버지를 조사하기 위해 이를 연구자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한 • 중 아버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국과 중국의 생활 환경수준이 비슷한 대도시인 D시와 B시에서 공 • 사립유치원에서 만 5세아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 및 양육참여는 사회인구학 적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은 전체적으로 한국 아버지와 중국 아버지가 모두 중요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늘날 자녀의 양육역할을 어머니의 주요역할에서 아버지도 똑같이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두 나라 모두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위요소별로 보면, 한국 아버지는 ‘통솔 • 조화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여 아버지의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아직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중국 아버지는 전체적으로 큰 차이 없이 하위요소 모두에서 비슷한 수준에서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참여에서는 전체적으로 중국 아버지가 한국 아버지보다 자녀의 양육에 직접 참여하는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실제적으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가 더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은 지난 40여 년 간 국가가 강제적으로 ‘한 자녀 갖기 정책’을 실시하여 중국 부모는 선택의 여지없이 외동아를 갖게 되었다면, 한국은 선택적으로 외동아를 갖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될 수 있다. 양육참여의 하위요소별로 한국 아버지는 ‘놀아주기’에서, 중국 아버지는 ‘학습지도’에서 참여하는 것이 제일 높게 나타나서 외동아만을 키우는 중국의 아버지가 자녀교육에 높은 관심을 갖고 지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한 • 중 아버지의 양육역할지각 및 양육참여를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라서 살펴본 결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어머니 학력’, ‘아버지 학력’, ‘아버지 모임 횟수’, ‘주간에 자녀와 게임하는 횟수’, ‘주간에 자녀와 게임하는 시간’, ‘주말에 자녀와 게임하는 횟수’ 등의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의 경우는 ‘어머니 학력’, ‘아버지 모임 횟수’, ‘월 평균 수입’, ‘어머니 모임 횟수’ 등의 변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아버지는 주간에 자녀와 게임하는 횟수와 시간이 적을수록 아버지가 ‘경제적 역할’에서 높은 수치가 보였다. 또한 학력이 높은 아버지가 ‘통솔 • 조화 역할’을 높게 인식하였다.
중국 아버지는 ‘월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가사지도’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Koran and Chinese fathers with child at the age of 5 in full age in their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arental role. To do so, the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compared the paternal ro...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Koran and Chinese fathers with child at the age of 5 in full age in their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arental role. To do so, the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compared the paternal roles in parenting in two countries.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and the differences in of Koran and Chinese fathers with child at 5 in full age in their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arental role was analyzed.
For a research tool, this study employed and modified a questionnaire used in precedent studies that can help a father of a child at 5 in playing parental role. And the teachers and heads of the kindergartens in Korea and China were asked to review the revised questionnaire. And then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first designed in Korean for Korean fathers and later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for Chinese father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roles of two countries, two cities with a similar level of living standard were selected from two countries (D city from Korea and B city from China)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fathers with child at the age of 5 attending in private or public kindergarten in the cities.
The dat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was processed with SPSS Window 18.0 for statistical analysis.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such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below.
1.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athers?
2.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participation in parental ro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athers?
3 How different are the perception of and the participation in parental roles of Korean and Chinese fathers by demographic variable?
The followings were found out through the analysis.
First, it turned out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father equally perceived father’s parental role as important.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arental ro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athers. It demonstrated change of the perception in parenting role from mother-oriented to both mother- and father-based parenting as equally. In sub-variables of parenting role perceived as important, Korean fathers perceived the role of ‘control and balance’ as the most important one while Chinese fathers thought all of the sub-factors were equally important, without significant bias to certain one. It implies that Korean fathers still thinks that their role as head of household is the most important.
Second, Chinese fathers show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role than Korean fathers as whole. It suggests that fathers in the socialistic country are actually more actively in participating in parenting children. Explanation of this difference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Chinese parents didn’t have a chance but to have only one child due to “One Child Policy” which had been enforced for the last 40 years, while Korean parents have voluntarily more preferred to have the only child. Looking into by the sub-variable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it was known that ‘playing with child’ was most responded by Korean fathers while Chinese fathers answered they more participated in ‘helping child with learning’. It also reveals that Chinese fathers have high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their ‘only’ child.
Third, both Korean and Chinese fat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roles by demographic factor. In Korea, it turned out that ‘mother’s academic background’, ‘the frequency of father’s social gathering’, ‘the frequency of playing with child during weekdays’ and ‘the number of hours of the playing with child during weekends’ were factors that ha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roles’, whereas ‘mother’s academic background’, ‘the frequency of father’s social gathering’,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frequency of mother’s social gathering’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in China.
In Korea, it turned out that the less frequently a father plays with a child during weekdays, the higher his ‘economic role’ was. In addition, a father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control and balance’ role more importantly. On the other hand, it was turned out that Chinese fathers more participate in ‘instructing housekeeping works’ as they have lower ‘average monthly income’.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