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음은 비강 통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구강 통로의 일부를 조음 기관을 이용하여 완전히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를 말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폐쇄음은 양순, 치경, 연구개 조음 ... 폐쇄음은 비강 통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구강 통로의 일부를 조음 기관을 이용하여 완전히 막았다가 터트리면서 내는 소리를 말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폐쇄음은 양순, 치경, 연구개 조음 위치에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 폐쇄음은 동일 조음 위치에서 기식성 유무에 따라 유기음(aspirated)과 무기음(unaspirated)의 이원대립을 이루지만 한국어 폐쇄음은 동일 조음 위치에서 기식성과 긴장성에 따라 평음(lenis), 경음(fortis), 격음(aspirated)의 삼원대립을 이룬다. 신지영(2011)에 따르면 한국어 평 폐쇄음은 어두 위치에서 개방의 시점 이후에 꽤 오랫동안 성문 마찰로 인한 소음 구간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무성 유기음으로 실현되고 있으며, 어중의 위치(모음 간)에서 구강 폐쇄 동안 성대의 진동이 동반되며 개방 이후에 기식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유성 무기음으로 실현되고 있다. 또한 폐쇄음 말음 뒤 위치에서 평음이 경음화를 통해 해당 조음 위치의 경음으로 실현되다. 한국어 세 가지 폐쇄음은 기식성의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후행모음의 음높이(pitch)에 있어서도 차이가 난다. 경음과 격음에 뒤따르는 모음의 음높이가 평음에 뒤따르는 모음보다 높게 실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폐쇄음의 산출 양상과 지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원대립인 중국어 폐쇄음 체계를 가지는 중국인 화자가 어떻게 삼원대립을 가지는 한국어 폐쇄음을 습득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폐쇄음 체계를 살피고 산출 실험(production experiment)과 지각 실험(perception experiment), 그리고 병음 전자 실험(pinyin transliteration experiment)의 결과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폐쇄음의 산출 양상과 지각 양상, 그리고 병음 전자 양상을 살필 것이다. 그룹별 양상뿐만 아니라 피험자별 양상도 같이 보고 산출 양상과 지각 양상, 산출 양상과 병음 전자 양상 간의 관계를 검토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