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studies on visual word recognition have ed a significant morphological facilitation in many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but not in Korean. It has been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system base... Previous studies on visual word recognition have ed a significant morphological facilitation in many languages such a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but not in Korean. It has been at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riting system based on Hangul alphabet. Chinese characters once broadly used in Korea were totally abandond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Hangul-only policy by Korean government. Chinese loan words originall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re now written in Hangul. As a consequence, the syllable to morpheme correspondence became opaque for Chinese originated compounds so that readers have difficulties in figuring out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Sino-Korean compoun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ocessing of Sino-Korean compounds by Chinese-Korean L2 readers. There are two opposite predictions about their performance. If Chinese L2 readers exploit the reading skills used for their native texts, morphological facilitations will be obtained. On the contrary, if they recognize Korean words in the same way as native Korean readers, then morphologically related words do not facilitate each other. In the experiment using the methods of Kwangoh Yi & Insun Yi (1999), the author compared three kinds of prime-target pairs: Morphologically related, orthographically related and unrelated ones. There were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the common morpheme in a prime-target pair: Initial, second and crossed.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morphological facilitation for both groups of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critical morphemes, demonstrating that Chinese-Korean L2 readers could process Sino-Korean compounds in the same way as in reading their native Chinese texts. Furthermore, orthographical facilitations were also obtained, which is also different from Korean L1 reader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altion to L2 morphological processing as well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L2.
선행 연구에 의하여, 형태소의 촉진효과가 영어, 중국어,일본어의 단어재인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한국어의 연구에서 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이 한국어의 표기 체계에서 원인을 찾을 수 ... 선행 연구에 의하여, 형태소의 촉진효과가 영어, 중국어,일본어의 단어재인 연구에서 나타났지만, 한국어의 연구에서 잘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이 한국어의 표기 체계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국에서 원래 한자를 많이 사용했지만 이제 다 한글로 변했다. 그러므로 한글과 한자 형태소의 대응 관계가 불투명으로 변하고 한국인 독자들은 단어재인할 때에 한자 형태소의 파악도 어려워졌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한자어의 단어재인 특징을 측정하는 것이다. 두 개의 가상이 있다. 첫째는,중국인 학습자가 모어전이의 영향을 받으면 중국어 단어재인을 기술을 잘 이용해서, 형태소의 촉진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과 일치한 단어재인 방식을 이용하면, 형태소의 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본연구의 연구 방법은 이광오, 이인선(1999)의 연구방법을 도입하고 실험 자극을 형태소의 중복 조건, 표기 중복 조건,통제 조건, 3 개의 조건으로 나누고 비교하는 것이다. 중복 부분의 위치에 따라, 어두 점화, 어말 점화, 교차 위치 점화로 구분했다.그리고 피험자들을 한국어 수준에 따라 고급 집단 및 저급 집단을 구분해서 비교하였다. 결과는 한국어 수준이나 중붕 부분의 위치와 산관없이, 형태소의 촉진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른 말로 하면 중국인 학습자는 중국어의 단어재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한국어 단어를 재인한다.그리고 표기 중복 조건의 촉진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것도 한국인의 단어재인 방식과 다르다. 마지막논문은 제2언어의 형태소 처리 과정과 제2언어의 교육에 대해 논의했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