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컬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상자 중심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Of several voice assessment methods, a patient-based subjective assessment which assesses the degree of voice handicap personally felt and experienced by subjects, needs to be included i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voice assessment. The Singing ...

Of several voice assessment methods, a patient-based subjective assessment which assesses the degree of voice handicap personally felt and experienced by subjects, needs to be included i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voice assessment.
The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S-VHI) was developed to enable singers to evaluate their voice conditions subjectively. I was translated into Korean which was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proved to be fit for vocalists of vocal music. However, it has not applied for other musical genres than vocal music ye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K-SVHI for assessing singers' vocal problems was fit for singers in other genres than vocal music. To do this, a group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another group majoring in applied music, were divided into G0 and G1 in voice quality using the GRBAS scale during singing a song and reading a passage to see differences in K-SVHI by groups and the quality of voice. In addition, K-SVHI was divided into three sub-areas(physical, functional, emotional), to see if the groups had different scores of K-SVHI in each sub-areas. Further, we looked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G scores in the tasks of singing a song and reading a passage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K-SVHI by groups and G scores for each task,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G scores was found in the task of singing a song. K-SVHI scor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 scores,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G scores was found in the task of reading a passage.
As for K-SVHI between G scores for each task in each group,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SVHI scores in G0 and G1 in the task of singing a s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SVHI scores by G scores, while those majoring in applied vocal music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score in G1 than in G0 in the task of reading a passage.
As comparing K-SVHIs by groups for each G score in each task, K-SVHI scores in G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in the task of singing a song, whi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SVHI than those majoring in applied vocal music in G0 in the task of reading a passag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SVHI score than those majoring in applied vocal music in G1 in both tasks of singing a song and reading a paragraph.
2) K-SVHI wa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for each question with the objective of examining and those were compared by groups;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the emotional.
3)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G scores of two tasks were 50% (13/26)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73% (19/26) for those majoring in applied vocal music.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K-SVHI differed between two group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hose majoring in applied vocal music, whic means the ways of assessing singer's voice subjectively could differ by musical gen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K-SVHI developed for evaluating voice of singers is not thought to be proper tool for evaluating voice handicap of singers in diverse voice music genres. Accordingly, there will be a need of suitably using evaluation tool in line with musical genre of being pursued by them, as well as looking at it from diverse aspects, by carrying out objective evaluation, perceptual evaluation, and subjective voice evaluation when performing voice evaluation and therapy targeting professional voice users of singing a song.

음성을 직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직업적 음성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라 한다(Irving, Epstein & Harries, 1997; Benninger et al., 1994). 이들이 음성에 문제를 느껴 병원에 내원하여 음성언어재활사...

음성을 직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을 직업적 음성사용자(professional voice user)라 한다(Irving, Epstein & Harries, 1997; Benninger et al., 1994). 이들이 음성에 문제를 느껴 병원에 내원하여 음성언어재활사가 음성 장애의 종류 및 정도를 평가할 때에는 다양한 측면의 여러 가지 평가 방법으로 음성 문제를 판단해야 한다. 여러 가지 평가 방법들 중 자기 주관적 평가 방법의 하나인 환자 주도형 평가도구는(patient-based documentation) 대상자가 직접 자신이 느끼고 경험한 음성장애의 정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음성평가 결과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가수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음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음성장애지수(Singing Voice Handicap Index; S-VHI)가 개발되었고, 이를 한국어로 번안한 성악가를 위한 한국어 음성장애지수(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가 성악가를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악가를 제외한 다른 음악 장르에서도 적합한가에 대해서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수의 음성 문제를 평가하는 K-SVHI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적합하다고 입증된 성악가를 제외한 다른 장르의 가수에게도 그들의 음성 문제를 평가하기에 적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수가 되기 위해 훈련받고 있는 성악 전공 대학생 집단과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노래부르기와 문단읽기 과제를 실시하고 각 과제별로 GRBAS 척도를 사용한 평가자의 청지각적 평가를 통해 각 집단별로 음질을 G0과 G1으로 구분한 후 집단과 음질에 따른 K-SVHI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K-SVHI를 VHI와 같이 세 개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집단별로 각 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노래부르기 과제와 문단읽기 과제의 G 점수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과제별로 집단과 G 점수에 따른 K-SVHI를 비교한 결과, 노래 부르기 과제에서는 집단과 G 점수의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고, 이에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G 점수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집단 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문단읽기 과제에서는 집단과 G 점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집단별 G 점수 간 K-SVHI를 비교한 결과, 노래부르기 과제에서는 두 집단 모두 G0과 G1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문단읽기 과제에서는 성악 전공 대학생의 경우 G 점수에 따라 K-SVHI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은 G1이 G0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각 G 점수에서 과제별 집단 간 K-SVHI를 비교한 결과는 G0에서는 노래부르기 과제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문단읽기 과제에서는 성악 전공 대학생 집단이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G1에서는 노래부르기와 문단읽기 과제 모두에서 성악 전공 대학생 집단이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2) K-SVHI를 VHI의 하위영역과 같이 항목별로 각 문항을 세 개의 하위영역(신체, 기능, 감정)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감정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각 집단별 노래부르기 과제와 문단읽기 과제의 G 점수 일치율을 살펴보기 위해 두 집단의 노래부르기 과제와 문단읽기 과제의 G척도 간에 일치되는 문항들을 전체 문항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 성악 전공 대학생 집단은 50%(13/26),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은 73%(19/26)였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가수가 되기 위해 훈련받는 성악 전공 대학생과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의 두 집단 간에 K-SVHI의 차이가 있었고, 이는 음악 장르에 따라 자신들의 음성에 대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노래하는 가수들의 음성 평가를 위해 만들어진 K-SVHI가 다양한 장르에서의 음성장애 정도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노래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음성평가 및 치료를 시행할 때 객관적 평가, 청지각적 평가, 그리고 자기주관적 음성평가를 시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 뿐 아니라 그들이 추구하는 음악적 장르에 맞는 평가도구를 알맞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