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문의 이해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피동문의 발달이 아동의 언어발달 정도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피동문 이해에...
피동문의 이해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피동문의 발달이 아동의 언어발달 정도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피동문 이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지적장애아동의 피동문 이해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능동문에 피동접사를 첨가함으로써 생성되는 형태적 피동문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어휘 자체의 의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는 피동문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지적장애아동의 능동문과 피동문의 이해능력 차이를 알아보고, 피동문의 이해능력을 통사적 복잡성이 있는 형태적 피동문과 통사적 복잡성을 통제한 의미적 피동문으로 구분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연령이 5-6세에 속하는 경도지적장애아동 11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1명을 대상으로 능동문과 피동문의 유형에 따른 이해능력을 살펴보았다. 경도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능동문과 피동문 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피동문의 유형에 따른 이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동문과 피동문의 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경도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교하여 능동문과 피동문 모두에서 이해능력이 낮았으며, 특히 피동문의 이해능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경도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집단의 피동문의 유형(형태적 피동문, 의미적 피동문)에 따른 이해능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집단 간 주효과가 나타났지만, 집단 내 피동문 유형에 대한 주효과와 피동문과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능동문과 피동문 유형에 따른 이해능력에서는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이해능력에서 경도지적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이해능력을 보였다. 이것은 경도지적장애아동의 경우 피동문 이해에 있어 통사적 복잡성 뿐만 아니라 피동이 가지는 의미 자체에도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피동문을 유형 및 형성방법별로 구분하여 피동문의 이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