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문제는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의 역할일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원의 교수 방법과 교수 내용에 ...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문제는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의 역할일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원의 교수 방법과 교수 내용에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는 더욱더 한국어 교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에 대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한국어 교원의 개념과 역할, 활동 영역, 한국어 교원의 자격 제도의 제정과 교원의 등급 규정 등에 대해서 법률에서 정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상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해결 방안으로 교원 양성 과정의 필수 이수 과목에 ‘현장 실습의 강화’와 다문화 시대에 대비한 ‘한국 사회와 다문화의 이해(가칭)’ 과목의 추가,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과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육행정론” 과목의 추가를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의 대학(원)기관에서 영리 등의 목적으로 진행중인 비학위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을 폐지하고 교육 기관으로의 전환과 한국어 교육, 홍보, 관리, 보급, 연수 등의 중복 시행으로 인한 문제 발생 등에 대한 해결을 위한 방법과 한국어 교육 기관의 다양한 전공명의 통일을 제안하였다.
교원자격증 부여 기준에서 비학위 한국어 교원 양성 기관 이수자에 대한 한국어 교원 자격 부여 기준과 비원어민 교원에 대한 교원 자격 부여시 학위 과정 이수자와의 형평성과 교육자의 기본적인 지식 등을 고려하여 준교사의 자격을 부여하는 개선안을 제안하고 다문화 시대의 특성상 정부 각 부처별로 추진하는 다양한 한국어 교원 양성과 한국어 교원의 명칭에 대한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국어 교원의 자격에 대한 다원화 대책에 대하여 제안하였으며 한국어 교원의 처우 개선 방안으로는 국가와 민간 교육 기관의 한국어 교원 자격증 소지자의 의무 보유를 법제화 할 것과 다문화 시대에 대비하여 공교육 현장에 한국어 교원을 배치하므로 교육의 효율성과 한국어 교원의 처우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원의 정기 연수(보수) 교육을 실시하여 시대의 변화에 대비하고 새로운 교수법의 습득을 통해 양질의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법제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제4장에서는 본고 내용의 결론으로 위와 같은 내용에 대한 결과를 제안하고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과제를 제시하면서 교육 기관과 정부, 한국어 교원의 노력과 각오를 제안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