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출신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전략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
본 연구는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출신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전략 실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교육에서 반영해야 할 점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요청, 제공, 제안, 초대 상황, 친밀도와 사회적 힘을 고려하여 거절 상황을 설정한 후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상황인지도 검사와 담화완성테스트(DCT)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거시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 두 집단의 집단별 직접, 간접, 부가 표현 전략의 구성비를 살펴보고 이들이 연쇄적으로 결합하는 구성 양상과 빈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미시적인 측면에서 집단별상황별변인별 세부 전략들의 사용 빈도와 상위 빈도 전략을 분석한 후, 전략 사용 개수의 평균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거절 상황에서의 부담도를 분석하여 부담도에 따른 거절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을 분석함으로써 전략 사용상의 특징을 알아보고, 향후 이들의 거절 화행 교육에서 반영되어야 할 점들을 제안해 보았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가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보다 간접적인 방식으로 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모어 화자가 직접 거절 전략을 대체적으로 선호하지 않았던 것에 비해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는 직접 거절 전략 중에서도 체면 위협이 상대적으로 더 큰 단정적 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화 상대자와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대부분의 상황에서 단정적 거절 전략과 다른 간접 거절 전략들을 결합해서 사용하였는데, 주로 사용하는 전략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다. 한편 두 집단 모두 소원한 관계보다 친밀한 관계에서 더 많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힘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에서는 베트남 여성 결혼 이민자의 경우 사회적 힘이 상→하로 갈수록 전략 사용이 줄어들었던 반면, 한국어 모어 화자는 상→동등으로 가면서 전략 사용이 줄다가 동등→하로 가면서 다시 전략 사용이 늘었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화행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베트남 출신 여성 결혼 이민자의 거절 화행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이들의 거절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담화완성테스트의 한계 상 거절 담화에서 일어나는 대화의 순서 교대 과정이나 청자 반응을 볼 수 없었다는 점,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경우 북부 출신과 남부 출신의 사고방식과 태도가 다를 수 있는데 이에 따른 화행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거절 화행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