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연구 목적 = 1 1.2 선행 연구 = 2 1.3 연구 방법 = 5 2.1 태와 피동 = 7 2.2 한국어 피동표현 = 9 2.2.1 능동문과 피동문 = 9 2.2.2 한국어 피동표현의 유형 = 10 2.2.2.1 접미 피동 = 10 2.2.2.2 ‘-어지다’ 피동 = 13 2.2.2.3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 = 15 2.3 중국어 피동 표현 = 18 2.3.1 중국어의 유표적 피동문 = 19 2.3.1.1 ‘被’구문 = 20 2.3.1.2 ‘叫’구문 = 20 2.3.1.3 ‘讓’구문 = 21 2.3.1.4 ‘給’구문 = 21 2.3.2 중국어 기타 유표적 피동문 = 22 2.3.2.1 ‘遭, 受’ 피동문 = 22 2.3.3 무표지 피동문 = 23 3. 한국어 및 중국어 피동 표현 대조 = 25 3.1 한국어 접미 피동과 중국어 피동의 대조 = 25 3.1.1 한국어 접미 피동 표현의 문형 = 25 3.1.2 중국어 ‘被’구문의 문형 = 29 3.1.3 한국어 접미 피동과 중국어 대응 구문 = 30 3.1.3.1 [NP1이/NP2에/에게/Vpass] = 30 3.1.3.2 [NP1이/Vpass] = 31 3.1.3.3 [NP1이/NP2에게/NP3를/Vpass] = 32 3.1.3.4 [NP1이/NP2에게/NP3이/Vpass] = 33 3.2 한국어 ‘-어지다’피동과 중국어 피동의 대조 = 36 3.2.1 한국어 ‘-어지다’ 피동문 문형 = 36 3.2.2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의 문형 = 37 3.2.3 한국어 ‘-어지다’ 피동과 중국어 대응 구문 = 38 3.2.3.1 [NP1이/V-어지다] = 38 3.2.3.2 [NP1이/NP2에 의해/V-어지다] = 38 3.2.3.3 [NP1이/NP2로/V-어지다] = 39 3.3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과 중국어 피동의 대조 = 40 3.3.1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 = 40 3.3.2 중국어 기타 유표적 피동 = 45 3.3.3 한국어 ‘되다, 받다, 당하다’ 피동문 및 중국어 대응 구문 = 46 3.3.3.1 [NP1이 N-되다] = 46 3.3.3.2 [NP1이 NP2에/에게 N-되다] = 46 3.3.3.3 [NP1이 NP2에 의해 N-되다] = 47 3.3.3.4 [NP1이 N-받다] = 48 3.3.3.5 [NP1이 NP2에게 N-받다] = 49 3.3.3.6 [NP1이 NP2에 의해 N-받다] = 49 3.3.3.7 [NP1이 NP2에게서(로부터) N-받다] = 49 3.3.3.8 [NP1이 NP2로 N-받다] = 50 3.3.3.9 [NP1이 N-당하다] = 52 3.3.3.10 [NP1이 NP2에게 N-당하다] = 52 3.3.3.11 [NP1이 NP2에게 NP3를 N-당하다] = 52 3.3.3.12 [NP1이 NP2에 의해 N-당하다] = 53 3.3.3.13 [NP1이 NP2에 의해 NP3에 N-당하다] = 53 3.3.3.14 [NP1이 NP2에 의해 NP3를 N-당하다] = 54 3.3.3.15 [NP1이 NP2에게서(로부터) N-당하다] = 54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