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推測 樣態副詞 對照 硏究 : ‘아마’, ‘어쩌면’, ‘혹시’를 中心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사람들은 말을 할 때 단순히 사실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실에 대한 감정, 느낌, 태도, 판단 등도 함께 전달한다. 문법에서는 이를 ‘樣態(mo- dality)’라는 문법 범주로 기술하는데, ...

사람들은 말을 할 때 단순히 사실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실에 대한 감정, 느낌, 태도, 판단 등도 함께 전달한다. 문법에서는 이를 ‘樣態(mo- dality)’라는 문법 범주로 기술하는데, 樣態 실현 양식은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화용론적, 의미적인 차원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推測’이라는 樣態範疇를 중심으로 韓國語의 樣態副詞와 中國語의 語氣副詞 대조하여 그들의 의미적·통사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으로 두었다.
선행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韓・中 樣態副詞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많은 성과를 얻었지만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韓ㆍ中 樣態副詞에 대한 대조 연구는 찾을 수 없다. 樣態란 화자가 문장 명제에 대해 주관적 태도나 감정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인데 의미 항목이 많아 의미를 파악하고 구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2장에서는 韓ㆍ中 樣態副詞를 대조하기 위한 이론적 개관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韓ㆍ中 樣態副詞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범주를 설정하도록 했다. 4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었는데 첫 번째는 3장에서 설정한 대조 어휘 ‘아마’, ‘어쩌면’, ‘혹시’와 中國 推測 語氣副詞의 대응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의미적 특성을 예문으로 살펴보았다. ‘아마’와 ‘大概(대개)’, ‘也许(야허)’, ‘兴许(흥허)’, ‘恐怕(공파)’, ‘어쩌면’과 ‘也许(야허)’, ‘兴许(흥허)’, ‘恐怕(공파)’, 그리고 ‘혹시’와 ‘也许(야허)’, ‘兴许(흥허)’, ‘万一(만일)’, ‘如果(여과)’는 의미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韓・中 樣態副詞의 통사적 특징을 문장에서의 위치, 문장 종류와의 호응, 그리고 樣態素와의 호응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中國語 語氣는 주로 어휘적 요소로 실현하지만 韓國語 양태는 어휘적 요소와 문법적 요소와 결합하여 실현한다는 특성을 알 수 있다.

Language is the main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en we speak, we try to express our thoughts and feelings. Modality is about a speaker’s mode of speech. Using this form, the speaker can express his’s attitude during the communication. ...

Language is the main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en we speak, we try to express our thoughts and feelings. Modality is about a speaker’s mode of speech. Using this form, the speaker can express his’s attitude during the communication. Modal language is a high level of meaning that is related to the whole sentence. There are many expressions of modal language. It can be reflected through sentence type and sentence structure, and it can also be reflected in special phrases, including modal verb, modal adverb, and dynamic auxiliary word. This aims to contrast the modal adverb ‘probabl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s noted in previous studies, a great achievements was obtained in the previous studies, but the it is still unsystematical, so there is still no contrast study on modal adverbs betwee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Modality is a grammar category that express the speaker's attitude and feelings, which contains numerous semantic items, and it is not easy to grasp and distinct the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modal adverb ‘probabl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rough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analysis.
The includes three parts. Chapter2 illustrates present situ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modal adverb research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Chapter3 illustrates the definition and typical categorical problem of the modal adverb ‘probabl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Chapter 4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o find the correspondence of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nd the second part is to contrast syntactic properties of the modal adverb ‘probabl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