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고’와‘-어서’에 대한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 분석을 하고 태국어와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태국인 학습자가 계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고’와‘-어서’의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고’와‘-어서’에 대한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 분석을 하고 태국어와의 대조 분석을 통하여 태국인 학습자가 계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고’와‘-어서’의 의미를 구별해서 상황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고’와‘-어서’는 주로 초급 단계에서 학습하지만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도 상황에 따라 자주 오류를 범하는 연결어미이다. 또한‘-고’와 ‘-어서’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연결어미 의미 및 용법을 정확히 알고 구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시킬 필요성이 있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고’와‘-어서’의 의미와 용법들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다양한 사전에서 기술된 연결어미‘-고’와‘어서’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연결어미‘-고’와‘-어서’에 대응되는 태국어 접속사를 각 사전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세종 균형 말뭉치에서 나온 한국어 용례들을 분석하여 대응되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연결어미‘-고’와‘-어서’에 해당하는 용례를 무작위로 각 300 개씩 추출하여 각 의미 기능에 따라 태국어에서 어떤 표현에 해당하는지 대조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결어미‘-고’와‘-어서’의 사용함에 있어서 실제로 말뭉치에서 얼마나 잦은 빈도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4 장에서는 3장에서 일차적인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태국어 계기 표현의 의미를 이차적인 분석을 하였다. 또한 말뭉치 용례에서 계기관계의 연결어미‘-고’와‘-어서’는 주로 어떤 동사류와 결합한 것인지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태국 부라파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계기관계를 나타내는‘-고’와‘-어서’에 대한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과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태국인 학습자가 계기를 나타내는 한국어 연결어미‘-고’와‘-어서’의 정확한 통사, 의미, 기능을 구분하고 이를 학습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