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 습득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learners' acquisition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eo beorida ‘, '-eo nota', '-eo duda', '-eo neda'. To do so,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fined and the subj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learners' acquisition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eo beorida ‘, '-eo nota', '-eo duda', '-eo neda'. To do so,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fin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stablished by the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manuscript are, first, to investigate if there'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using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along with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Second, to investigate if there's any difference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per each Aktionsart.
To solve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was suggested in Chapter Ⅱ. That i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in Korean language were considered and the perfect aspect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were consider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Next, in Chapter Ⅲ, research tools were developed. The research tools of this manuscript are divided into two, first is, 'fill-in-the-blanks test', which is to select proper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along with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and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which is to distinguish the grammatical accuracy by observing the banding pattern with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along with each Aktionsart. The objects of research aimed 20 persons from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20 persons from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6 colleges and affiliat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Korean language located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21 persons from Korean native speakers.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fined, first,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ed different use aspect along with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ch auxiliary predicate. Also, compared with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 group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different articles to each other. Also, in cas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y appeared to learn '-eo beorida' and '-eo duda' of [/burden removal] the best, while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ppeared to learn '-eo beorida' of [/sorriness] the best, so that a difference appeared in the use of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it was investigated if there's any difference in the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 use among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per each Aktionsar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ppeared in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among the three groups. Also, in case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higher average marks were shown in order of '-eo duda, -eo nota, -eo neda, -eo beorida‘, and in case of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higher average marks were shown in order of '-eo nota, -eo duda, -eo neda, -eo beorida’. This showed quite a different aspect from the result of research subject 1, and as the result, both the two groups showed the worst grammatical judgement about '-eo beorida'.
Lastly, in Chapter Ⅴ, the conclusion,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should be taught proposedly when they are lectured in educational practices and that the difference among perfect aspect auxiliary predicates should be clearly taught. However, this manuscript has a limitation that it observed only one representative verb per each Aktionsart without observing various verbs per Aktionsart. Also, there are more various auxiliary predicates besides '-eo beorida', '-eo nota', '-eo duda, and '-eo neda', so that the research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m is anticipated for the future.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습자들의 완료상 보조용언 ‘-어 버리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내다’의 습득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습자들의 완료상 보조용언 ‘-어 버리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내다’의 습득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첫째, 각 완료상 보조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완료상 보조용언 사용에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어 모어 화자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둘째, 각 동작류 별로 완료상 보조용언 습득에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학습자, 일본인 학습자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즉 한국어 완료상 보조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관해서 고찰하고 중국어와 일본어의 완료상 표현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고의 연구 도구는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첫째로 완료상 보조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적절한 완료상 보조용언을 고르도록 하는 ‘빈 칸 채우기 테스트’와 각 동작류에 따라 완료상 보조용언과의 결합 양상을 보고 문법적 정확성을 판별하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로 나누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6개 대학과 부속 한국어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20명, 일본인 학습자 20명 그리고 한국어 모어 화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밝혔는데 첫째로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학습자, 일본인 학습자는 각 보조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서 다른 사용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해서 중국인 학습자, 일본인 학습자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각기 달랐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 [/부담 제거]의 '-어 버리다'와 '-어 두다'를 가장 잘 습득한 반면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 [/아쉬움]의 '-어 버리다'를 가장 잘 습득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나 두 집단의 완료상 보조용언 사용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각 동작류 별로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학습자, 일본인 학습자의 완료상 보조용언의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보았는데 이 세 집단 간에 완료상 보조용언 사용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 '-어 두다, -어 놓다, '-어 내다, -어 버리다' 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인 학습자의 경우 '-어 놓다, '-어 두다, '-어 내다. -어 버리다' 순으로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문제 1의 결과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며 두 집단 모두 '-어 버리다'에 대한 문법성 판단을 가장 잘 하지 못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의의 그리고 한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완료상 보조용언을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교수할 때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완료상 보조용언 간의 차이를 분명히 교수해야 하며 학습자의 모국어를 고려해서 교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하지만 본고는 동작류 별로 다양한 동사를 보지 못하고 각 동작류 별로 대표적인 동사 하나씩만을 보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완료상 보조용언에는 ‘-어 버리다’, ‘-어 놓다’, ‘-어 두다’, ‘-어 내다’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조용언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교수와 습득에 대한 연구가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