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에서의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의 의미 기능 습득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establishing basic structure for realistic and systematic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particle ‘leul’ by investigating semantic functions of i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in Korean spoken language. Belows are ma...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establishing basic structure for realistic and systematic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particle ‘leul’ by investigating semantic functions of i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in Korean spoken language. Belows ar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n Chapter I, it describes on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raises 2 questions on the background of advanced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al studies. First, is there difference in how to use semantic functions of particle ‘leul'’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in spoken language betwee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learning semantic functions' meaning of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particle ’leul’ in spoken language according to proficiency of learners? In Chapter II, it organizes construction of a sentence that include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particle ‘leul’ into 8 categories based on discussions so far about semantic functions of particle ‘leul’. In detail, it proves that semantic functions of particle ‘leul’’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in spoken language carries out functions of [emphasis] and [general information]. And, it categorizes particle ‘leul’ into argument and non-argument according to its realizing position in spoken language. Therefore, in total, it concludes with 8 categories of sentences that include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particle ‘leul’ : 1) non-realization - typical object case forms 2) non-realization - typical object case forms 3) non-realization - case selection forms 4) realization - typical object case forms 5) realization - case selection forms 6) non-realization - long negation constructions 7) non-realization - adjunct 8) realization - long negation constructions. Also it brings correspondent idea how they can respond with Chinese construction of sentences. In Chapter III, it shows result of experiment with 75 subjects composed of 25 Korean native speakers and 50 Korean learners from China, which is spoken language grammatical test with constructions of sentences that include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of particle ‘leul’. To answer above 2nd question, it categorizes subjects in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after examining them. In Chapter IV, analyzation of test results brings study problems : 1)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aspect on semantic functions of realizing and non-realizing ‘leul’ in spoken language betwee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It indicates for us to need to teach and learn semantic functions of i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in each Korean language class, and, in particular, it is compelling to teach and learn on ‘case-selection forms' which can alternate adverbial case markers into object case markers in semantic syntactic manner. 2) Test show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earning semantic functions of it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However, high proficiencies preferred realizing adverbial case markers in non-arguments because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principle that function of ’leul’ in non-arguments is [emphasis], which indicates for us to teach more proactively that ‘leul’ can be realized for [emphasis]. Finally, in Chapter V, it summarizes findings of the study and mention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o try to establish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spoken grammar by admitting grammatical difference in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build foundation in systematic work for formulating actual teach-learning contents on semantic functions of ‘leul’’s realization and non-realization.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규명하여 ‘를’에 관련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하는 데 ...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규명하여 ‘를’에 관련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학습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하는 데 있다.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교착어적 특징으로 인해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구어와 문어 간에 서로 상이한 조사 실현 양상은 학습자들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의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고의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화자는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의 사용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조사 ‘를’의 의미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나는 구문을 8개 유형으로 체계화하였다. 먼저,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이 각각 [강조]의 의미 기능과 일반적인 의미 전달의 기능을 수행함을 밝혔다. 다음으로, 조사 ‘를’이 구어에서 실현되는 위치에 따라 논항과 비논항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나는 구문을 ‘비실현–대격형’, ‘비실현–격선택형’, ‘실현–대격형’, ‘실현–격선택형’, ‘비실현–장형부정’, ‘비실현–부가어’, ‘실현 –장형부정’, ‘실현–부가어’로 총 8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 구문이 중국어에 어떻게 대응되는지 그 대응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 구문을 바탕으로 구어 문법성 판단 검사 도구를 개발한 후에 한국어 모어화자 25명,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50명 총 7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를 대상으로 숙달도 검사를 시행하여 숙달도에 따라 학습자를 중급과 고급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 및 가설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는데,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모어화자는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을 교수․학습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의미 통사론적으로 의미격 조사가 대격 조사 ‘를’로 교체되어 실현될 수 있는 ‘격 선택형’ 구문에 대해 교수․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의 습득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숙달도가 높아져도 비논항 위치에서는 조사 ‘를’의 실현이 나타내는 의미가 [강조]임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의미격 조사의 실현에 대한 선호가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비논항 위치에서도 조사 ‘를’이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실현될 수 있음을 보다 적극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밝혔다. 본 연구는 한국어의 다양한 조사 실현 양상으로 인해 학습자들이 조사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한국어 교육에서 이러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교수․학습 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구어에서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고유한 의미 기능을 나타낸다는 점을 주목하여 이러한 내용이 한국어 교육의 실제적인 교수․학습 내용으로 수용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구어와 문어 사이의 문법성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고, 구어 문법에 대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구어에서의 조사 ‘를’의 실현 및 비실현이 나타내는 의미 기능에 관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화하는 작업을 하는 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