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獻類에 따른 漢字音 比較 硏究 : 儒·佛經 諺解書를 中心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本稿는 서로 다른 文獻의 性格에 나타나는 漢字音을 聲母․韻母․聲調별로 정리하고 그 차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本稿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文獻 資料는 佛經 諺解...

本稿는 서로 다른 文獻의 性格에 나타나는 漢字音을 聲母․韻母․聲調별로 정리하고 그 차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本稿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文獻 資料는 佛經 諺解書 4種, 儒經 諺解書 7種, 字典類 3種으로 모두 14種이다. 먼저, 佛經 諺解書로는 『六祖法寶壇經諺解』(上․中․下)(1496)와 『眞言勸供․三壇施食文諺解』(1496), 『長壽經諺解』(16세기 초․중반으로 추정)를, 儒經 諺解書로는 『飜譯小學』(三․四․六․七․八․九․十)(1518), 『小學諺解』(1588), 『論語諺解』(1590), 『孟子諺解』(1590), 『大學諺解』(1590), 『中庸諺解』(1590), 『孝經諺解』(1590)를, 그리고 字典類로는『訓蒙字會』(叡山本․東中本)(1527), 『千字文』(光州版․石峯版)(1575), 『新增類合』(1576)에 나타나는 漢字音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聲母의 實現 樣相에 있어서는 儒經 諺解書보다 佛經 諺解書가 漢語中古音을 큰 변화 없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佛經 諺解書와 달리 儒經 諺解書끼리의 混記 樣相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韻母의 차이를 통해서 나타나는 특징은 儒經 諺解書끼리의 混記가 佛經 諺解書보다 많이 나타난다는 점과 聲母의 차이와는 반대로 佛經 諺解書보다 儒經 諺解書가 漢語中古音의 반영에 충실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러나 『長壽經諺解』의 경우 佛經 諺解書임에도 불구하고 儒經 諺解書와 가까운 漢字音의 특징을 많이 보이는데, 그렇다고 해서 佛經 諺解書와 儒經 諺解書에 구분되어 나타나던 漢字音의 實現 樣相이 사라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長壽經諺解』의 경우, 本稿에서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는 다른 佛經 諺解書와 달리 儒經 諺解書가 간행되던 시기인 16세기 초․중반에 간행되어 일시적으로 당시의 한국어 음운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 그래야만 지금까지 전해지는 佛經音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長壽經諺解』가 16세기의 儒敎 經典을 비롯한 일반적인 漢字音 표기를 보이기는 하지만, 오늘날의 佛經音에도 일반적인 것과 다르게 나타나는 漢字音이 남아 있다는 것은 이것이 16세기를 기점으로 사라졌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讀誦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왔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끝으로 聲調의 차이에 나타난 佛經 諺解書와 儒經 諺解書의 文獻類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가장 주목되는 것이 바로 上聲과 去聲의 對應 樣相이다. 이들은 韓國漢字音에서 모두 R로 對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佛經 諺解書의 경우, R보다 H로의 對應 樣相이 더 높게 나타난다. 반면, 儒經 諺解書는 일반적인 R로의 對應 樣相을 보인다는 점에서 佛經과 儒經이라는 文獻類에 따른 漢字音의 차이가 보다 뚜렷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儒經 諺解書의 경우, 16세기 이후에 본격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하면서 당시 한국어 음운 체계의 변화를 잘 반영하였고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韓國漢字音의 주류가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佛經 諺解書의 경우 대부분 16세기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한국어의 변화된 음운 체계를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漢譯되기는 했어도 梵語를 충실히 반영하려 노력하였다는 점과 讀誦이라는 고유의 전승 방식으로 이어져 오면서 오늘날까지 특정 소수의 漢字音 테두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is to organize the consonants, vowels and tones of the Sino-Korean which are appeared in different literatures, and then to find out what the differences are of them by the difference characters of the literatures. In this ...

The aim of this is to organize the consonants, vowels and tones of the Sino-Korean which are appeared in different literatures, and then to find out what the differences are of them by the difference characters of the literatures. In this , there are 14 kinds of literatures which are researched as the object: 4 kinds of the Buddhist scriptures, 7 kind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3 kinds of the Autobiographical history books. This begins with the researching of the Sino-Korean which are appear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such as 『Yukjobeopbodangyeong Eonhae(六祖法寶壇經諺解)』(上․中․下)(1496), 『Jineongwongong․Samdansisingmun Eonhae(眞言勸供․三壇施食文諺解)』(1496), 『Jangsugyeong Eonhae(長壽經諺解)』(around 16th century)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Beonyeok Sohak(飜譯小學)』(3․4․6․7․8․9․10)(1518), 『Sohak Eonhae(小學諺解)』(1588), 『Noneo Eonhae(論語諺解)』(1590), 『Maengja Eonhae(孟子諺解)』(1590), 『Daehak Eonhae(大學諺解)』(1590), 『Jungyong Eonhae(中庸諺解)』(1590), 『Hyogyeong Eonhae(孝經諺解)』(1590), and the autobiographical history books such as 『Hunmongjahoe(訓蒙字會)』(叡山本․東中本)(1527),『Cheonjamun(千字文)』(光州版․石峯版)(1575), 『Sinjeungyuhap(新增類合)』(1576). First, according to the consonant's appearance of the realization, it seems that it's almost accept all of the Mediaeval Chinese without any change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an in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different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it's clearly to find that in the Confucian scriptures the consonant's appearances of the realizations are mixed up to use in varies. Secondly, there are 2 kinds of the features which come from the difference of the vowels. One is that in Confucian scriptures, the vowels' appearances of the realizations are mixed up to use more widely than in Buddhist scriptures, and the other is that different from consonant, there's almost no change when using the Mediaeval Chinese about the vowels in Confucian scriptures than in Buddhist scriptures. Finally, it's worth to pay attention to the tone's different realization between the upper tone and the falling tone. It's usually that they are marked R in Sino-Korean, but they are marked H more in Buddhist scriptures. On the other hand, in Confucian scriptures they are marked R usually. So it is easy to find that the differences appear according to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 Confucian scriptures. The reason is that Confucian scriptures were printed after 16 century and they reflected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Korean that period. So they became the main Sino-Korean. And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for the Buddhist scriptures to reflect the changed phonological system of Korean because they were almost printed before 16 century. Although the translation of Chinese was impossible, but it tried to reflect the Sanskrit and it has left only by the simple form of speaking, therefore today it is only used to form the girth of a little Sino-Korean.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