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외 초․중등학교에 한국어반 설치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한국어를 전략적으로 보급하고 국가별·지역별 한국어반의 발전방안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
본 연구는 해외 초․중등학교에 한국어반 설치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한국어를 전략적으로 보급하고 국가별·지역별 한국어반의 발전방안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 소속의 재외교육기관인 한국교육원 설치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교육부가 추진 중인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 보급 사업 지원 대상 위주로 제시하고 있으며 외교적․현실적인 문제로 전 세계의 한국어 현황을 파악하기에는 일부 한계를 지닌다.
정부는 2,000년대 초반에는 각 부처별 추진해오던 한국어 보급 사업을 2008년 이후에는 전 정부적 차원에서 국가 브랜드 제고 및 우리 나라의 대․내외적 위상과 선진화된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해 국가브랜드위원회를 설치하여 체계적 관리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고 이를 통해 한국어 보급 기반이 갖춰지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 초반에는 해외 초․중등학교에서 한국어반 설치 국가가 미국, 호주 등 일부 국가에 불과 했으나, 2,000년 후반에 들어서면서 유럽, 중남미, CIS지역 등 저변화 되는 양상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을 포함한 각국의 한국어반이 2009년에는 14개국 522교였으나, 2012년에는 23개국 799교로 매년 급증되는 추세다.
현지 한국어반을 개설․확장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과 교육제도․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현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교사 양성, 학생 지원, 한국어 시험의 활용 등 교육 인프라 강화가 우선 되어야 한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 매년 응시자가 대폭 확대되고 응시지역에는 한국어 수요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현 한국어 보급 정책과 연계․확대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초, 중등학교 정규교육과정 내 교과목을 개설, 운영하기 위해서는 선택과목 채택 결정, 교육과정 개발, 교사채용, 학생의 수강과목 선택 및 확정, 교재 구입 등 제반 일정에 적어도 2~3년은 소요되므로 한국어 채택 사업은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국교육원을 비롯 대사관, 현지 동포, 한국어 보급 민간단체, 한글학교 관계자 등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총체적 접근 추진이 적합하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에 따른 국가 위상의 제고 등으로 아시아,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 세계 전역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과 한국어 학습 열기가 크게 고조되고 한국어 수요도 다변화 되어 유학생․재외동포 중심에서 현지 외국인까지 한국어를 배우려는 교육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해외 한국어 보급은 이러한 수요를 고려하여 국가․지역별 교육 수요, 생활수준, 전통과 문화 등에 따라 차별화된, 다양한 한국어 교육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며, 특히 한국어 보급의 기반이 되는 해외 초․중등학교 한국어반 개설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