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과거 시제에 관한 비교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일본어 과거 시제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중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이므로, ...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일본어 과거 시제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중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고립어이므로, 두 언어의 어순, 문법표현이 달라,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공부할 때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이거저거 많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시간 표현은 선어말어미 ‘-었었-’, ‘-었-’, ‘-는-’, ‘-겠-’, 관형사형 어미 ‘-(으)ㄴ’, ‘-던-’, ‘-더-’, ‘-는-’, ‘-(으)ㄹ-’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어미로 구성되므로,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일본어와 한국어는 같은 교착어로 문법과 어휘가 비슷하지만 세밀한 차이가 많기 때문에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도 실수가 적지 않다. 특히 시간표현에 있어서 일본어는 한국어와 달리 시제와 상으로 같이 표현하기 때문에,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 시제에 관련한 문장을 만들 때 생각보다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를 통해 중국인과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과거 시제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세 언어의 과거 시제 실현 방법과 용법의 비교를 통하여 한·중, 한·일의 과거 시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에서 이 세 언어의 과거 시제의 여러 유형을 문제로 출제하였고, 이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과거 시제의 학습에 있어서 혼동하는 표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앞서 제시한 한·중, 한·일 과거 시제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설문조사에 의해 나온 결과 분석을 토대로 더욱더 효과적인 한국어 과거 시제의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 선행 연구를 밝히고 연구 대상 및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2장은 한국어의 시제체계를 살펴본 후, 과거 시제의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먼저 중국어, 일본어의 과거 시제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어의 과거 시제와 비교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로부터 자주 나타나는 오류를 예측하고, 중·일 초·중급 학습자 총 5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서 나타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은 3, 4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입장에서 본 한국어 과거 시제의 교수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ied on the past tens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r finding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the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is different from Korean such as words order, grammatica...

This studied on the past tens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or finding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the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is different from Korean such as words order, grammatical expressions, etc. which makes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difficult to understand many properties of Korean. Among these, the temporal expressions which are formed by the prefinal endings such as ‘-(으)ㄴ’, ‘-던-’, ‘-더-’, ‘-는-’, ‘-(으)ㄹ-’, etc. and adnominal suffixes, such as ‘-(으)ㄴ’, ‘-던-’, ‘-더-’, ‘-는-’, ‘-(으)ㄹ-’, etc. make the Chinese L2 learners difficult to master these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lso make no few errors although both the two languages are agglutinative. Different from Korean, the temporal expressions of Japanese uses the tense and mood together, which make the Japanese display much more errors when producing the sentences related with tens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the help to the learning of past tense for the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Firstly, this presented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Korean and Japanese through the contrastive study of the fulfill methods and the usage of the past tense of the three languages. We set the exam questions with several patterns of the past tense of the three languages and found the confusable expressions during the acquisition of the past tense of Korean. Finally, we discovered the much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the past tense of Korean based on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the past ten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Korean and Japanese,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the questionnire.
The organization of this is as the following: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was stated, as well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the past tense system was studied focusing on the tense system of Korean.
In chapter 3,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of the past tense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 on the past tense of Chinese and Japanese.
In chapter 4, the errors with high frequency produced by the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were predicted. The reasons for causing the err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estionnires finished by 50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whose acquisition of Korean were at the beginning or intermediate level.
In the last chapter, the teaching method on the Korean past tense was stated from the position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3 and chapter 4.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