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의 목적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한국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연구의 목적은 단어 연상 실험을 통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를 살펴보는데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는가,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라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어휘 지식, 심성어휘집, 단어 연상과 의미 관계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단어 연상에서의 단어의 선택과 결합은 어휘 지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단어 관계를 통해 우리는 학습자의 심성어휘집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어 연상과 다양한 의미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단어 연상 실험을 위해 20개의 제시어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한국어 모어 화자 60명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실험 결과를 해석하였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는 차이가 있었다. 두 집단 모두 의미-기반 연상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의미-기반 연상, 위치-기반 연상, 불규칙 연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범주별로 살펴 본 결과, 동의어/유의어 연상, 개념적 연상, 주어-서술어 결합 연상, 목적어-서술어 결합 연상, 부사어-서술어 결합 연상, 합성 관계 결합 연상과 무관계 연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반응어의 종류는 모어 화자들이 더 많았으며, 반응어들은 대체적으로 두 집단 간의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에 차이가 있었다. 구체 명사에 따른 단어 연상의 경우 의미-기반 연상과 위치-기반 연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으며, 소범주별로 살펴보면 개념적 연상, 주어-서술어 결합 연상, 목적어-서술어 결합 연상, 합성 관계 결합 연상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상 명사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경우 구체 명사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을 때 개념적 연상의 반응이 더 많았으며, 두 집단의 구체 명사의 유의미한 의미 구조를 포함하여 부사-서술어 결합 연상과 무관계 연상에서 추가적으로 통계적 유의미했다. 이를 통해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과 상관없이 두 집단 간에는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차이는 사회·문화적 차이와 심성어휘집의 발달 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어떻게 단어를 구성하고, 어떻게 습득해 가는지에 대한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가 없다는 점과 제시어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단어 연상 의미 구조의 양상을 다룬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직관을 신장시키기 위해 의미망을 활용한 다양한 어휘 교육이 필요하며, 더 다양한 제2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단어 연상 의미 구조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in Korean and Japanese. Chapter Ⅰ expla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stablished the issues by exploring preliminary studies. The first issu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in Korean and Japanese.
Chapter Ⅰ explain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established the issues by exploring preliminary studies. The first issu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associated semantic organiz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second issue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associated semantic organization of two groups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Chapter Ⅱ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did literature review regarding 'word knowledge', 'mental lexicon' and 'word association'. word selection and word combination is related to word knowledge and their semantic relation provides us to grasp how to organize the mental lexicon of Korean learners. In addition, this chapter explained the word association test and diverse semantic relations in word associations.
Chapter Ⅲ described the method and procedures of the experiment. This experiment was administered to 60 native Korean speakers and 60 Japanese learners of Korean by word association test.
Chapter Ⅳ presen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ests. First, there was the difference in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e most frequent response type of both groups was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position-based associations, and erratic associations. In subcategor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ynonym association, conceptual association, su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o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dverial/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compound association. Native Korean speakers provided more various responses compared to Japanese learners bu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ir reponses of two groups. Second, the difference in terms of word association in the two groups was found according to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In associations of concrete nou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based associations and position-based associations. In subcategor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hown in conceptual association, su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object/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compound association. In associations of abstract nouns, there were more conceptual association responses compared to association of concrete nouns. The association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concrete nouns and the differences were added in adverial/predicate relationship association and no link association. Thes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emantic organization in association between two groups regardless of the semantic features of stimulus words. Thess differences seems to come from their social and cultural discrepanc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mental lexicon. Regarding this, the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Lastly, Chapter Ⅴ summarized the results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This is meaningful work in light of there are no study on semantic organization in word association to examine their mental lexicon organization and vocabulary acquisition. And its results can be useful for vocabulary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Moreover, lots of vocabulary learning methods utilizing semantic field are needed for Korean learners to foster their language intuition and I expect further studies on the word association studies of various Korean learners would be made.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