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교실 밖에서 자유롭게 쓴 한국어 일기를 통하여 쓰기에 사용하는 학습 전략과 개개인의 한국어 쓰기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일기를 쓰는 데는 특별한 ... 이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교실 밖에서 자유롭게 쓴 한국어 일기를 통하여 쓰기에 사용하는 학습 전략과 개개인의 한국어 쓰기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일기를 쓰는 데는 특별한 형식이 없으며, 자신이 쓴 글을 자신이 읽는 1인 독자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대구 경북에 소재한 어학당과 대학에 다니는 중국인 학습자 5명에게 일기를 쓰게 하였다. 학습자 스스로의 자발적인 한국어 쓰기 양상을 보기 위해 2달 동안 일기를 쓰는 횟수, 글의 양, 주제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았다. 담화를 구성하는 능력은 초급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에도 제한을 두지 않았다. 일기를 쓴 학습자 5명에게는 일기를 다 쓴 후 일기를 쓰는 과정 중에 부딪히는 쓰기의 어려움에 대하여 인터뷰하였다. 더불어 과제 또는 자유 쓰기의 형태로 일기가 한국어 수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학습자들에게 설문을 하였다. 일기를 쓰는 것은 오직 자신만이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일기를 쓴 횟수와 글의 양이 학습자마다 차이를 보였다. 일기를 쓰기가 힘들 때는 주로 사전을 이용하거나 배운 내용을 참고하기도 하고, 쉬운 표현으로 바꾸어 쓰는 학습 전략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일기를 쓴 기간이 짧아 학습자 개개인의 한국어 쓰기 양상을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기를 쓰는 동안 학습자들은 다양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며, 일기쓰기는 학습자가 자신의 한국어 쓰기 특성을 알아차릴 수 있고 개선하는데 유용한 학습 전략이다. 이러한 점에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일기쓰기와 한국어 쓰기 수업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를 언급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riting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aspects of their Korean writing in the diaries that they wrote in Korean outside the classroom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selected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riting learning strategi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aspects of their Korean writing in the diaries that they wrote in Korean outside the classroom without any restrictions. The selected learners weren't forced to keep a diary in any particular form, and they were the only readers who read their own diar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ve Chinese learners who studied at language schools and college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y were asked to keep a diary without restricting writing frequency, the amount of writing and themes during a two-month period of time in order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heir spontaneous Korean writing. As it's possible for every learner to have a conversation in the beginner's stage,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fter they wrote their diaries, they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they faced in that proces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other learners to check whether they wrote a diary in Korean class in the form of an assignment or without any restrictions. Since only the learners got themselves in control in the writing process, there were some gaps among the learners in the writing frequency and the amount of writing. When they had difficulties, they used a dictionary, took advantage of what they had learned in class or made use of a learning strategy to put what's on mind in easy words. As they kept a diary just on a short-term ba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aspects of Korean writing might not be generalizable. The learners put a wide variety of learning strategies in use while they kept a diary, and writing a diary is one of useful learning strategies to enable learners to be aware of their own writing characteristics and improve their Korean writing. Accordingly, prolong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diary writing and Korean writing instruction.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