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문법 틀로 본 한국어 조사 중출 구문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work presents the meanings an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Korean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s.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ka' and 'lul' ar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work. Prior to analyzing the construc...

This work presents the meanings an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Korean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s.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ka' and 'lul' ar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work. Prior to analyzing the constructions, we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 particle 'ka' and 'lul' with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which provides the grounded roles of 'ka' and 'lul' that have never been captured by previous studies.
The particle 'ka' and 'lul' count as the markers that perform the epistemic grounded roles that designate the spheres of knowledge between the speaker and hearer. In this work 'ka' and 'lul' are not considered to assign any case to the constructions, which has been supported by many previous studies.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ka' and 'lul' are rather a fixed word order structure even though Korean is regarded as a free order language.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maintained that 'ka' and 'lul' are not the case markers, consider 'ka' and 'lul' as the modal particles, such as 'nun', 'man', and 'to.' We insist that 'ka', 'lul', 'nun', 'man', and 'to' are the epistemic grounded particles.
The particle 'ka' and 'lul' have their own unique meanings which remain consistent in any constructions. We provide the seven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s that have their own meanings, argument roles and syntactic structures. We maintain that the argument information of the repeated particle constructions does not lie in the predicates but in the constructions.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ka' consist in the [X-ka Y-ka predicate] structure: Theme-possession construction, Theme-description construction, Stimulus-experience construction, and Goal-apposition construction. The 'X' is regarded as the subject and the 'Y' as the compliment.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lul' consist in the [X-ka Y-lul Z-lul predicate] structure: 'lul' repeating-Theme construction, 'lul' repeating-Transformation construction, and 'lul' repeating-Causative construction. The 'X' is considered as the subject, the 'Y' as the object, and the 'Z' as the object or the compliment.
From the above, we claim that the word order of the repeated particle constructions determines the sentence constituents. So 'ka' and 'lul' are not the case markers but the epistemic grounded particles like the auxiliary particles. The constructions of the repeated particle 'ka' and 'lul' have to be considered as lexical items because they have their own unique meanings and syntactic structures.

이 연구는 한국조사 중출 구문의 의미와 문법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가}와 {를}이 나타나는 구문이 구문의 의미를 가장 무표적으로 제시한다고 간주하였기 때문에 조사 ...

이 연구는 한국어 조사 중출 구문의 의미와 문법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가}와 {를}이 나타나는 구문이 구문의 의미를 가장 무표적으로 제시한다고 간주하였기 때문에 조사 {가}와 {를}이 중복 출현하는 구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조사 중출 구문을 분석하기에 앞서 {가}와 {를}의 의미를 먼저 제시하였는데 조사 {가}와 {를}의 의미는 인지문법의 이론을 토대로 분석하여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파악하지 못하였던 {가}와 {를}의 배경화 역할을 발견하여 제시하였다. 조사 {가}와 {를}의 의미를 밝혀야 조사 중출 구문에서 {가}와 {를}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 {가}와 {를}은 인식적 배경화 역할을 수행하는 표지로 간주되어 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제시된다. 조사 중출 구문에서는 조사 {가}와 {를}의 존재와 무관하게 어순 변경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는 조사 {가}와 {를}이 구문에서 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을 의미한다.
조사 {가}와 {를}을 격조사가 아니라고 제시한 연구는 {가}와 {를}도 {는}, {만}, {도}와 같은 보조사 계열인 양태 조사로 파악한다. 이 연구는 {가}와 {를}, {은}, {만}, {도}를 화자와 청자 간의 지식 관계를 규정하는 인식적 배경화 조사로 파악한다. 이는 일종의 보조사로 규정할 수 있다.
조사 {가}와 {를}이 실체와 결합하여 조사 중출 구문에 나타날 때에도 그 의미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연구는 조사 중출 구문을 일곱 가지로 나누어 제시한다. 각 구문은 논항 역할과 통사 구조를 가지고 있고 다른 구문과는 차별되는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조사 중출 구문의 논항 정보는 개별 술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구문 구조 자체에 내재되어 있다고 간주한다.
조사 {가} 중출 구문은 [X-가 Y-가 술어] 구조로 구성된 구문으로 대상 소유 구문, 대상 묘사 구문, 자극 경험 구문, 착점 동격 구문으로 제시된다. 통사 구조는 'X'는 주어로 'Y'는 보충어로 분석한다. 조사 {를} 중출 구문은 [X-가 Y-를 Z-를 술어] 구조로 구성된 구문으로 {를} 중출 대상 구문, {를} 중출 변성 구문, {를} 중출 수여 구문으로 분류하여 제시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조사 중출 구문은 어순에 의하여 격이 부여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 {가}와 {를}은 격이나 문장 성분을 결정할 수 있는 표지와는 상관없는 인식적 배경화 역할을 담당하는 보조사이다. 조사 중출 구문은 고유의 의미와 통사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별 어휘와 동일하게 어휘 항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