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동사 ‘들다(入)’와 ‘나다(出)’가 각각 참여한 구와 복합어들을 통해 두 동사의 의미적 특성 및 형성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들다’와...
본고는 동사 ‘들다(入)’와 ‘나다(出)’가 각각 참여한 구와 복합어들을 통해 두 동사의 의미적 특성 및 형성법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들다’와 ‘나다’의 원형의미에서 어떻게 여러 의미로 확장되었는지를 여러 관용 표현들을 통해 그의 의미론적 현상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사 ‘들다’와 ‘나다’는 원형의미로부터 ‘이동과정’에만 초점을 두는 의미 확장, ‘이동결과’에만 초점을 두는 의미 확장과 같은 방식으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이 두 가지 확장 방식에 대한 성립 여부는 각각 관용표현의 서술형식을 ‘들고 있다’와 ‘나고 있다’로 교체하여 판단을 하였다. 또한 ‘들다’와 ‘나다’의 의미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대립관계와 유사관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조동사로서의 ‘나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V-고 나다’와 ‘V-어/아 나다’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들다’, ‘나다’의 단어형성 양상과 두 동사가 복합어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들다’와 ‘나다’가 참여한 복합어의 의미관계도 함께 다루었다. ‘들다’의 단어형성에 있어서 형태적 특성에 따라 ‘들/X’, ‘들어/X’, ‘X/들다’ 등 세 가지 구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동사 ‘나다’의 단어형성에 있어서 형태적 특징에 따라 ‘X/나다’, ‘나/X’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두 동사의 복합어의 의미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유사관계를 이루는 복합어는 주로 ‘N/나다/들다’의 구성방식에서 의미의 유사성을 나타낼 수 있고 합성동사에서는 그들의 대립관계만 존재한다. 이때 주로 이동성 동사와의 합성이 대립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동성 동사와 결합한 후 ‘들다’와 ‘나다’는 원래 소극화되었던 이동 경로성 의미자질이 선행 또는 후행하는 이동성동사의 동사적 의미 특성에 의해 뚜렷하게 드러남으로써 대립관계가 성립되는 것이었다.
4장은 결론으로 이상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했다.
본고에서 본동사로 쓰이는 ‘들다’와 ‘나다’의 의미에 대한 검토와 보조동사로 쓰이는 ‘나다’의 의미에 대한 검토는 두 단어의 의미 이해에 도움이 될 뿐만이 아니라 다의어 전체의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