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논문 요약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요리 동사 교육 방안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요리 동사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

논문 요약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 방안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리 동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와 문화에 빠르게 적응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고려한 상황별 교육용 어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한 요리 동사 교육이 필요하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음식 관련 어휘에 관한 교육 연구는 요리 동사의 국어학적 분석을 제시하여 한국어 교육에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그 의미가 습득될 수 있도록 하는가는 다른 연구들보다 미비한 상황이다.
요리 동사의 학습은 어휘의 의미 관계에 중점을 두는 의미장을 활용함으로써, 어휘를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어휘 간의 상·하위 관계와 대립 관계, 어휘의 체계를 규명할 수 있다. 또한 어휘의 의미 습득으로 확장된 의미, 즉 은유적 의미의 교육까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과 연구의 대상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실제적인 요리의 전 과정에서 사용되는 ‘요리 동사의 어휘’로 한정하고 속담과 관용어에 나오는 요리 어휘는 제외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요리 동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요리 동사 연구, 요리 동사 교육 방안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오는 요리 동사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요리 관련 어휘보다는 주로 음식 이름과 조리 기구에 관한 어휘에 치중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급이나 고급으로의 학습자의 수준과는 상관없이 나열되어 있었다. 기존 교재에서는 대부분 한정된 요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서 요리 동사의 다양한 의미 제시가 제한적이었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로는 다양한 요리 동사의 습득이 어려울 것으로 보였다. 또한 김중섭(2011)에서 개발한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는 한국어 교재 내의 요리 동사에 비해 동사의 수가 부족하여, 학습자의 어휘의 등급 설정으로 활용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제시된 것,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것, ≪표준국어대사전≫에 제시된 것,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 제시된 것에서 빈도와 등급을 고려하여 한국어 요리 동사 105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요리 동사를 조리 단계와 조리 방법, 경과 시간, 매개체의 사용량, 한영 대응 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5장에서는 요리 동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초가 되는 교육 원리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요리 동사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요리 동사의 의미를 정의, 비명시, 문맥, 명시를 통하여 학습하는 방법과 연어를 통하여 학습하는 방법, 의미장 이론을 통하여 학습하는 방법, 의미망을 통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여성결혼이민자, 요리 동사 , 어휘 교육 , 의미 학습 , 의미장 , 교육 방안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ooking Verbs for Married Woman Immigrant Seong Misook Department of ...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ooking Verbs for Married Woman Immigrant

Seong Misoo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e study aims to analyze demands of married woman immigrants for education of korean cooking verbs and suggests their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demands. In order to make the immigra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quickly, the educational vocabularies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situations. Furthermore, the education of the cooking verbs which reflects the learners’ demands, is required. Existing studies about education of food-related vocabularies for the immigrants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oking verbs and emphasize their utilization in Korean education. However, studies about how to make the learners acquire the meanings of the vocabularies are inadequate comparing to other studies.
The learners of the cooking verbs can understand the words structurally by using a semantic field which has focus on the semantic relations of the words. In other words, the semantic field makes them possible to identify the vocabulary system, the hierarchical and contrastive relations among vocabularies. Moreover, acquiring the meanings of the words, they can learn the broader meanings, metaphorical senses as well.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shown as below.
Chapter 1 provides the purpose, need, subjects, and range of this study. The subjects are limited to ‘the vocabularies of the cooking verbs’ which are used in whole process of practical cooking and vocabularies which can be found in proverbs or idioms are excluded.
Chapter 2 treats preceding researches of the cooking verbs in Korean educa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studies of the verbs and their educational methods.
In the chapter 3, there are the analyses of the cooking verbs in Korean textbooks. The existing textbooks have been focusing on vocabularies of food names and cooking utensils rather than cooking-related words. In addition, they have been listed without respect of the learners’ levels. Most of the textbooks represent limited recipes and therefore introduction of various meanings of the cooking verbs are also limited.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learners are hard to acquire varied kinds of the verbs with the existing books.
In addition, ≪Two stage of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Use≫ developed by Kim, Jung-sup (2011) points out that it is restricted to be utilized for judging vocabulary grade of leaners due to lack of number of verbs compared to cook verbs in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text books.
In the chapter 4, 105 Korean cooking verbs are selected considering the frequency and levels of the verbs from the preceding studies, Korean teaching materials,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Two stage of Korean Education Standard Model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Use≫. The selected verb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ooking steps, recipes, time, media usage, and Korean-English counterparts with explanations.
Chapter 5 includes the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are basic to suggest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cooking verbs. At first, it examines considerations in educating the verbs. Finally, it suggests definitions of the verbs and studying methods with connotations, denotations, contexts, collocations, the theory of semantic field, and semantic network.



Keyword: Married Woman immigrants, Cooking verbs,
Vocabulary education, Semantic learning, Semantic field, Educational methods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