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literac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in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seven year-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ity of Changwon. They were t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literac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in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seven year-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ity of Changwon. They were tested on reading, dictation, vocabulary, and cognitive - linguistic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morphological awar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outperformed reading CV(consonant-vowel) syllables over reading word and dictation. After the effects of non-verbal intelligenc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and number naming were controlled in the regression analyses, morphological awareness predicted reading of CV syllables and words. Especially, derivational morphological awareness independently explained variance of reading measures. Second, morphological awareness predicted dictation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different cognitive - linguistic skills. In particular, homophone awareness independently predicted dictation. Third, children outperformed syllable deletion and final sound deletion over onset deletion. Deletion of final sound independently affected all of the reading and dictation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re important in reading and writing among Korean kindergarten children.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의 읽기 발달이 형태소 인식력과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산시에 소재한 유치원생 7세반 139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와 어휘력, 문식성, 인지-언어적 능력(...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의 읽기 발달이 형태소 인식력과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산시에 소재한 유치원생 7세반 139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와 어휘력, 문식성, 인지-언어적 능력(음운 인식, 명명속도, 형태소 인식 등)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단어 읽기와 받아쓰기의 수행보다 글자 읽기의 수행이 비교적 높았다. 비언어적 지능, 어휘력, 음운 인식 및 숫자 명명의 영향력을 제외했을 때, 형태소 인식력이 글자와 단어 읽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소 인식력 중에서도 파생어 형태소 인식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소 인식력은 다른 인지-언어적 과제들의 영향력을 제거한 후에도, 받아쓰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음어 인식력이 받아쓰기를 독립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운 인식 중에서 음절 탈락과 끝소리 탈락이 첫소리 탈락보다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끝소리 탈락은 단어 읽기, 글자 읽기와 받아쓰기 모두에 독립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운 인식과 형태소 인식이 유치원 아동의 읽기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