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출신국가에 따른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을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 측면에서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과 어머니와 관련...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출신국가에 따른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을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 측면에서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조음음운능력과 어머니와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머니의 출신국가가 베트남, 몽골, 필리핀인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는 생활연령이 5~6세 사이의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용하고 분리된 공간에서 연구자와 일대일 평가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출신국가에 따른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음정확도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음운변동을 살펴 본 결과 생략 음운변동 중 초성생략에서 베트남, 필리핀, 몽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음생략에서 베트남, 몽골, 필리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치 음운변동 중 연구개음동화에서 베트남, 필리핀, 몽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가정 내 언어 환경에 따라 취학 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음정확도를 살펴보았는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략, 대치 음운변동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자음정확도 및 음운변동이 가정 내 환경 변인들 중 아동의 교육 기간, 어머니의 한국어 배운 기간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았을 때 어머니 국적에 따른 아동 간의 자음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음운변동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나 어머니의 출신국가별 집단 대상자의 수가 적고, 세 개의 국가로 한정적이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functions of pre-schoo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 mothers from different nationalities from the aspects of articulation correctness and phoneme fluctuations in order to und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functions of pre-schoo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f mothers from different nationalities from the aspects of articulation correctness and phoneme fluctu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a correlation between those multicultural pre-schoolers’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functions, and factors related to the mothers.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21 pre-schoolers between the age of five and six who are grow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mothers from Vietnam, Mongolia and the Philippines. The children in the study were given a face-to-face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 in a quite, private pl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of the pre-schoolers with moth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 groups did not present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the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with the initial sound omit among the omit phoneme fluctuations in order of Vietnam, the Philippines and Mongolia. The liquid consonant omit was observed, first, with Vietnam followed by Mongolia and the Philippines. In addition, the soft palatal consonant assimilation from the phoneme fluctuations was discovered with Vietnam, the Philippines and Mongolia in order.
Second, the study looked into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of the multicultural pre-schoolers caused by the mothers’ language environments at hom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Both the omit, and the substitution phoneme fluctuations did not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and the phoneme fluctuations among the home environmental factors were observed to be related to the training period of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In conclusion, the children did not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articulation correctness by the mothers’ nationalities while they did statistically for the phoneme fluctuations. However, interpreting of those findings should be conducted carefully from various aspects for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ith the foreign mothers in the study was small, and only three countries were investigated.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