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의문사와 의문문의 대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carry out a various and systematic study on interrogativ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from the views of syntactic aspect and semantic aspect. The following gives core introduction on each chapter. ...

This carry out a various and systematic study on interrogativ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from the views of syntactic aspect and semantic aspect. The following gives core introduction on each chapter.
Chapter 1 mainly finds out the relevant theories of the older generations, analyzes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interrogativ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en, in terms of linguistics, summarizes the main characteristics about interrogativ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t is the basic foreshadowing for the following research.
Chapter 2 is mainly about general features of interrogativ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includ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For interrogatives, mainly discuss its "unknown" character. Generally, it is used as the substitute of the "unknown" thing while asking ques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limited nature and specific nature are its main two characters. In this chapter, these two characteristics have detailed.
In Korean language, the interrogatives and negatives sometimes have exactly the same pattern, but the meaning and function are very different, interrogatives are replaced by the contents of the unknown, while the negatives refer to the uncertain content. In this chapter, these two kinds of differences have also been illustrated.
Interrogativ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have differences in interrogatives, the tail of the text, and the circumstance of the text. There is specific introduction of those too.
In addition, the Chinese language has a number of specific concepts, such as interrogative mood words, interrogative adverbs and rhetorical questions are described in this chapter.
Chapter 3 is the core part of this . Based on the concept in Chapter 2, by giving out all kinds of sample sentences, we carry out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rrogativ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First of all,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rrogative system, to identify some of their basic characteristics, and find their one to one relationship. Then, we perform a comparative study of interrogatives to Chinese language, from the views of pattern changing, pronounce changing, component of unknown subject, substitutes, special occasion and so on. Here is the main conclusion, Korean interrogatives are complex and varied, diverse in morphological, compared with Chinese language. Interrogatives in Chinese language has just a little types, most of wh-words can be made by two simple words, which is why the interrogatives in Chinese language is not very well-developed.
Chapter 4 is a comparative study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and meaning of the interrogative sentences. This chapter is not the focus of this , the reason for writing this chapter is that interrogatives could only be meaningful when they are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in order to enable us to understand better, in this chapter, we also carried out a simple comparative study on interrogative sentences. The comparing of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mainly from the angles of grammatical features, significance and Answer Man properties, etc.
This article focuses on comparison of interrogative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I try to compare these characters of interrogatives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ut due to the limitation of my present knowledge, I have to stop. In the future, I will make more efforts to research, enrich and improve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the Korean interrogative adjectives and interrogative verbs, due to various reasons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is thesis. But it could be the main topic of future research. I will develop a detailed plan to study the inadequate parts and the remains.

본고는 한국어의 의문사와 의문문을 대상으로 통사론 및 의미론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와 기능에 대해 중국어와 대비하였다. 이 연구에서 검토하고 논의된 내용을 각장...

본고는 한국어의 의문사와 의문문을 대상으로 통사론 및 의미론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와 기능에 대해 중국어와 대비하였다. 이 연구에서 검토하고 논의된 내용을 각장별로 요약하여 정리한다.
제1장에서는 그 동안 연구된 의문사 및 의문문의 연구사, 발전사를 살펴봄을 통해 언어학적인 의문사 및 의문문의 특성을 정리하고, 아울러 제2장 및 이후의 연구를 위한 기초를 확립했다.
제2장에서는 한·중 의문사 및 의문문을 일반적 형식과 내용·특성에 따라 규정하였다. 의문사에 대한 여러 가지 분류 기준 중에서, 본고는 김광해(1995)의 관점을 취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의문사란 화자가 어떤 미지의 대상에 대하여 알고자 할 때, 그 미지의 대상을 지칭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의문 현상이란 화자가 관여하는 상황 중에서 전부 혹은 일부에 대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하는 것이므로, 의미론적으로 살펴보면 의문사는 ‘미지’와 한정성 및 특정성 등의 특성이 뚜렷함을 확인하였다. ‘의문사’의 형태에 대한 세밀한 기술을 위해 ‘미지의 일’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의문’에 쓰인 의문사인지, 또는 어떤 사실을 불확실하게 추측하는 표현인 부정사인지를 자세히 구분하였다. 한편, 의문문은 형식적으로는 의문사와 의문문어미, 억양 등에 의해 실현되며 의미적으로는 화자가 어떠한 사태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불확실함의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는데,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 의문사나 의문문도 한국어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고, 중국어 문법에서는 의문의 기능을 하는 ‘의문어기사’와 ‘의문부사’가 있음도 설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어 반문문을 의문문의 중요한 형식의 하나로 설명하였다.
제3장은 본 연구의 중심 내용으로 2장의 기본 개념에 따라 한·중 의문사에 대해 구체적인 예문을 들어 대비하였다. 우선 한국어 의문사 체계와 중국어 의문사 체계의 서로 다른 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장에서 제시한 <그림2>처럼 보다 세분화된 한국어의 의문사에 비해, 중국어 의문사는 ‘의문대사’라는 개념을 가지고 일괄적으로 지칭함을 목격하였다. 한·중 의문사 각각의 대비는 의문사의 다른 형태가 있는지 없는지, 미지의 대상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환언 대상이 있는지 없는지, 예외 현상은 어떤 것인지 등의 측면에서 대비하였다. 중국어 의문사는 중국어의 특성상 형태 변화가 없기 때문에 한국어와 비해 그리 발달하지 않았음과, 수량도 역시 많지 않아 두 개의 의문사를 합성하여 하나의 의문사로서 기능하는 것이 많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초 개념과 의미에 따라 한·중 의문문을 대비하였다. 먼저 한·중 의문문의 대비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고찰함을 통해, 의문문의 문법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 및 답문의 특성에 따라서 한·중 의문문이 4장의 <그림6>처럼 대비 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국어의 일반 의문문은 부가 의문문, 선택 의문문, 설명 의문문으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중국어에서 시비 의문문, 선택 의문문, 특지 의문문과 대비 관계가 되며, 한국어의 확인 의문문은 중국어의 정반 의문문과 대비 관계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어의 특수 의문문인 수사 의문문, 메아리 의문문, 요청 의문문은 중국어에서는 하나의 형태인 반문문과 대비 관계가 됨을 설명하였다. 일반의문문에서 나타내는 양상과 화용의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한·중 일반의문문은 차이가 많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명의문문은 화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이 가장 적은 의문문으로서 화자가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을 전적으로 상대방에게 해소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의문문으로, 의문사가 있다는 점에서 중국어의 특지 의문문과 대비 관계가 됨을 설명하였다. 확인의문문은 의문문에서 이미 확정적인 것으로 주어져 있거나 화자의 인식 안에서 참이라고 가정하는 일련의 사태들을 상대방에게 확인하는 강한 태도를 보이는 것인데, 이러한 의미 차원에서 확인의문문은 중국어 정반의문문과 대비 관계가 이루어짐을 설명하였다. 이 때 주목할 것은 중국어 정반의문문에는 일반적으로 의문구조가 포함되어 있어야 정반의문이 실현된다는 사실이었다. 중국어 반문문은 대개 한국어 특수의문문에 속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의문문의 형식을 띠고 있으면서도 질문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특수의문문은 대개 의미적인 측면에서 정해진 것으로서 중국어 반문문과 대비 관계가 됨을 설명하였다.
의문사는 그 문장에서의 기능적인 중요성에 비해 본격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의문의 기능적 차원에서 ‘미지’나 ‘결여’라는 정보 속성을 가진 성분이 곧 의문사라는 점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식적인 차원의 논의를 제고(提高)하는, 실제 의문사가 문자의 제반 층위에서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특성적 현상에 대해서 본격적이고 총체적으로 기술한 연구가 아쉬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가 수행할 연구의 방향이 의문사 범주의 위상과 면모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기존의 미흡했던 의문사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해낼 수 있으리라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며, 논의의 궁극적 목표이다.
본고는 현대 한국어 의문사들이 보여주는 형태, 통사, 의미 속성들을 종합적으로 중국어와 대비함으로써, 이들이 참여하는 설명 의문문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한·중 의문 현상에 관한 의문사 대비 체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의문동사와 의문형용사는 여러 제한으로 언급하지 못하였다. 한·중 의문문을 대비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중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본고의 중점 내용 아니기 때문에 필요한 정도만을 논의했다. 이는 본고에서 미처 논하지 못한 문제들이다. 언급하지 못한 문제들이 더 남아 있겠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를 기약하고 이상으로 본고의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