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사동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사동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동문 생산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생산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사동문과 중국어 사동문의 유형, 의미를 기술하고 구문에 따라 한국어 사동문과 중국어 사동문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국어 사동문은 한국어의 형태적 사동문보다 통사적 사동문에 더 가깝게 대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Ⅲ장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을 살펴보기 위하여 그림을 보고 형태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을 포함한 문장을 생산하는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 국내 교육기관에서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중 4급 이상인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생산과 차이가 있었다. 사동문의 유형별로 생산의 양상을 비교한 결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는 형태적 사동을 유도한 문항에서 모어 화자보다 통사적 사동을 사용한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통사적 사동을 유도한 문항에서는 모어 화자와 학습자가 모두 형태적 사동을 사용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통사적 사동 문항에서 두 집단의 사동문 사용 비율을 살펴보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 비율이 모어 화자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 두 집단의 사동문 생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생산 습득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한다. 유형별로 사동문의 생산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형태적 사동문 문항에서 상위권 집단보다 하위권 집단이 사동문이 아닌 문장을 많이 생산하였다. 통사적 사동문 문항에서는 두 집단이 모두 사동문이 아닌 문장을 많이 생산하였으나 하위권 집단이 생산한 문장 유형이 상위권 집단보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어서 Ⅴ장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다시 정리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가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사동문의 생산을 관찰한 습득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한국어 사동문을 형태적 사동문, 통사적 사동문으로 나누어 살핀 결과, 사동문의 형태‧통사적 조건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duce the causative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stated and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causatives are reviewed to estab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duce the causative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re stated and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causatives are reviewed to establish the issu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ssues ar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the production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s, and also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high ranking learners and low ranking learners in the production of the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s. In Chapter Ⅱ, the types and meanings of causatives both in Korean and Chinese are investigated and the Korean causatives and Chinese causatives are then compared. As a result, comparing with the Korean morphological causative, Korean syntactic causatives correspond better to Chinese causatives. In Chapter Ⅲ,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producing Korean causatives constructions, the test was composed by pictures with the selected Korean causatives. It was administered to 25 Korean native speakers and 50 Chinese learners of Korean studying in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with aptitude of level four and above.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drawn. Firstly, it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in the production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s. After comparing the result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 in different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in the morphological causative questions, comparing with the Korean native speaker group, the percentage of Chinese learner group who selected syntactic causatives was much higher. On the other side, in syntactic causative questions, both groups selected many morphological causatives, but as to producing causatives, Chinese learner group produced less causative questions than Korean native speaker group did. It prov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in the production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s. Secondly, proficiency factor exists in the acquisition of production in Korean causatives by Chinese learners. In morphological causative questions, the lower ranking group produced more non-causative sentences than the higher ranking group. In syntactic causative questions, both the higher and lower ranking groups produced a few of non-causative sentences, but the types of sentences made by lower ranking group are more diverse than those made by higher ranking group. In Chapter Ⅴ, the results and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stated as the following. Firstly, this research was targeted at the Chinese learners of Korean to observe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Korean causative sentences. Second,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 the morphology and syntactic aspects differ according to the way it was being used.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