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실 말하기 평가 방안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목적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과정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용한 말하기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최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과정에 있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용한 말하기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최근 국내의 대학이나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 기관과 대학에서는 학습자들의 보다 성공적인 대학 수학을 위해 별도의 수업이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업이나 프로그램들을 통해 교육되는 내용들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다양한 언어 기능과 관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말하기의 측면에서는 학문적 상황이라는 특정한 맥락에서 요구되는 말하기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고, 그에 따른 평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받은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적합한 말하기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수학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한국어 능력의 최저 수준을 문지방 등급 수준으로 보았다. 문지방 등급은 일반 목적에서 학문 목적으로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는 시기의 등급을 의미한다. 이는 6단계의 보편적인 한국어 능력 등급 구분 중 3급에 상당하는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인 평가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교실 평가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 채점표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자로서의 경험이 있는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평가의 타당성을 이루는 핵심 요인인 구인과 척도 기술에 있어 일반 목적의 평가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평가 유형 역시 구체적인 구인이나 척도 기술과의 밀접한 관련 없이 단순하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지방 등급 수준에 적합한 구인과 척도 기술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설계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바탕이 될 수 있다고 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말하기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구인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척도를 기술하였다. 이와 함께 구인 및 척도 기술의 내용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평가의 방법과 채점표를 구상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평가 방법을 실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용하였는데, 최종적으로 그 과정에서 얻게 된 담화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인과 척도 기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가의 구인, 척도 기술, 방법 등을 바탕으로 설계되는 말하기 평가를 통해 우선, 평가자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대학 수학을 위한 말하기 능력을 갖추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가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수정·보완해 가며 스스로의 학문적 말하기 능력을 검증하고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교육 기관 내에서 공부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학문적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보다 타당성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ffective speaking assessment method for the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Recently, foreign students who apply for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Korean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ffective speaking assessment method for the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 Recently, foreign students who apply for universities or graduate schools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nd universities conduct special courses and programs for the students. The education contents through these programs are associated with variety language skills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 particular, speaking needs special teaching methods requiring in the specific contexts so it needs different assessment compared to the other language skil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speaking assessment method for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In this study, the minimal Korean level that is necessary for taking academic courses in universities is threshold level. The rate of educational importance is changed in this level. 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general purpose is shifting into academic purpose. Level three can be the threshold level among six levels of general Korean language capability test.
The concept of class assessment is presented prior to suggesting the specific method. In addition,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speaking assessment for the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survey is demonstrated. It was carried out the survey with Korean teachers experienced at designing the lists of marks for speaking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s graders. Construct and scale are core elements for the validity of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ssessment which is used for the academic objective students is not differentiated from the assessment for the general students on the construct and the scale. The assessment type is also presented simply without close relation to concrete construct and scale method.
The construct and the scale appropriate to the threshold level can be the basis sets for planning a speaking assessment for academic objective students. The construct is focused on what can the student do and the appropriate scale is also presented. The assessment method and a list of mark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nstruct, scale and texts are designed. The designed assessment method are used for the academic objective students, and the conversation in the process a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construct and scale suggested on this study.
Through the speaking assessment based on the construct, scale and the method suggested on this study,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s have the speaking capability or not for taking courses in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students realize their cap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the assessment and they can modify, update, verify and improve their speaking capability for their academic conditions. At the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undamental material to estimate the academic speaking capability for Korean learn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