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그에 따른 교실운영 탐색 : 혼합연구방법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began from the viewpoints of Korean teachers who run multi-cultural class and contemplate their cultural identity in the course of the transferenc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growth the unique culture of a single nation for th...

This study began from the viewpoints of Korean teachers who run multi-cultural class and contemplate their cultural identity in the course of the transferenc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growth the unique culture of a single nation for the long periods of time. In particular, in this study,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required for teachers who manage education and design clas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s, where adult learners with strong sense and firm value gather together.
This study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classroom, which is the practice spot of Korean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of Korean education. Therefore, it puts its purpose in sharing the practical experience of Korean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and standards, which can be referred to, are offered.
First of all, this study identified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teachers and practice degre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s to utilize statistical advantages. To conduct an analysis, it sought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t-test,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Subsequently,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ubjects for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regard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he experience of classroom management.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triangulation and the second interviews with the study subjects via e-mails were requested. Such mixed 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view to overcoming each limit of quantitative research or qualitative research and enhanc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The summarizations of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level of Korean teachers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ppeared to be high as 4.08 of 5. The practic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showed a high level of the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f Korean teachers, age and the length of stay in foreign countr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teacher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practic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whole.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find implications of the quantitative study results. Put simply, the recognition of Korean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he experiences of classroom management were used for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classroom management. Finally, it discussed the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연구는 오랜 기간 단일민족이라는 특유한 문화 경향 속에서 성장하여,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고민하면서 다문화적인 교실운영하고 있는 한국어 교...

연구는 오랜 기간 단일민족이라는 특유한 문화 경향 속에서 성장하여,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고민하면서 다문화적인 교실운영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의 입장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특히 자신의 의식과 가치관이 확고한 성인 학습자들이 모인 한국어 교실에서 교육과정 운영 전문가이자 수업 설계자로서 교사에게는 다문화감수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그 실천의 장인 교실 운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교실에서 참고할 만한 준거를 제공하고 다양한 차원에서 수행되는 한국어 교사의 실질적인 수업 경험을 공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통계적인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그에 따른 다문화 교육 실천 수준의 정도를 설문지 조사로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교사들의 다문화 감수성에 대한 인식과 교실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를 위해 10명의 연구 대상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택하였다.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해서 삼각검증(triangulation)과 연구 대상자들에게 이메일을 통한 2차 인터뷰를 요청하였다. 이러한 혼합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나 질적 연구 각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내용의 타당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지각 수준은 5점 만점에 4.08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교육 실천 수준 역시 평균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어 교사의 배경변인에서 연령과 외국체류기간이 다문화교육 실천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은 전체적으로 다문화교육 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 인터뷰는 이러한 양적 연구 결과에 대해서 심도 있는 의미를 찾기 위하여 사용했다. 즉, 한국어 교사들의 다문화감수성에 대한 인식과 교실 운영 경험을 질적으로 해석하는데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