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of meaning of volitive expression, one of the modal expressions, including '-kess[겠]-', '-(eu)l geosida[(으)ㄹ 것이다]', ‘-(eu...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by explaining the difference of meaning of volitive expression, one of the modal expressions, including '-kess[겠]-', '-(eu)l geosida[(으)ㄹ 것이다]', ‘-(eu)lge[(으)ㄹ게]’, ‘-(eu)llae[(으)ㄹ래]’. The compositions and the subst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as the korean learn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these four volitive expressions and also the instructors find it hard to give definite explanations of the differences, the necessity of studying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s suggested. Moreover, the former researches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the Korean education on these expressions are fully examined.
In chapter 2, the concept of 'volition' will be explained in a modal aspect, and the reason why '-kess[겠]-', '-(eu)l geosida[(으)ㄹ 것이다]', ‘-(eu)lge[(으)ㄹ게]’, and ‘-(eu)llae[(으)ㄹ래]’ are distinguished as volitive expressions is explained. And then the meaning, the syntactic function and the limitation of each expression are inspected closely.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using volitive expressions in each korean teaching material, the third chapter analyses four currently using textbooks published at internal educational institute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y don't thoroughly present the differences of meaning and function of each expression, and there are few explanations on syntactic constraints. And also, even though there are more than one function in one grammatical element, they tend not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In the fourth chapter, surveys are given to the Korean learners to investigate whether they distinguish the differences of functions and meanings between the volitive expressions, on the basis of chapter 2 and 3. The questionnaire consists selected-response items of short conversation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86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s learners who had learned the volitive expressions in the beginners course were the objects of the survey.
As a result, common features were seen within the learners through some of the questions, and the error of the learners seemed to be the matter of the textbooks. The students were not only unaware of the basic syntactic constraints but also not able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and meanings. And moreover, they couldn't understand the various functions in one grammatical element, too.
To bring these matters to a settlement, chapter 5 presents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teach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volitive expressions. This method of teaching will be well used in practical korean instruc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of presenting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hat can be efficiently appli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oreigners as well as comparing similar grammatic expressions.
본 연구는 한국어 양태 표현 중 의지 표현인 ‘-겠-’, ‘-(으)ㄹ 것이다’, ‘-(으)ㄹ게’, ‘-(으)ㄹ래’의 의미 차이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
본 연구는 한국어 양태 표현 중 의지 표현인 ‘-겠-’, ‘-(으)ㄹ 것이다’, ‘-(으)ㄹ게’, ‘-(으)ㄹ래’의 의미 차이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네 가지 의지 표현의 이해와 사용에 있어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지도하는 교사들 역시도 변별점을 명확히 설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그리고 의지 표현에 관한 국어학의 논의와 한국어 교육 쪽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양태적 관점에서 ‘의지’의 개념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한국어 문법 분류에서 의지 표현으로서‘-겠-’,‘-(으)ㄹ 것이다’,‘-(으)ㄹ게’,‘-(으)ㄹ래’를 다루게 됨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의지 표현의 의미와 통사적 기능 및 제약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의지표현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교육 기관에서 출판되어 사용하고 있는 4개 교재를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의지 표현들 간의 기능 및 의미 차이를 잘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고 통사 제약에 관한 설명이 거의 없었다. 또 하나의 문법 항목에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 경우, 그것을 나누어서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을 토대로 의지 표현 간의 의미 및 기능 차이 등을 한국어 학습자가 얼마나 잘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실제 상황에서 자주 쓰이는 간단한 대화 형식의 선택형 문항을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초급에서 의지 표현을 모두 배운 중·고급 학습자 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여러 개의 문항에서 학습자 전체의 공통적인 문제점이 나타났는데, 이는 교재 분석 후 나타난 문제점이 그대로 학습자의 오류로 나타나고 있었다. 기본적인 통사 제약에 대해 모르고 있었으며 의지 표현들 간의 기능 및 의미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하나의 문법에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고급 학습자의 경우에도 중급에 비해 오류가 거의 고쳐지지 않고 있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5장에서는 의지 표현 사이의 미묘한 차이점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유사한 문법에 대한 비교와 함께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