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동동사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의 동사 ‘가다’와 ‘오다’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Gada' and ‘Oda' are the most typical examples of the locomotion verbs expressing change of locations.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Vietnamese- speaking countries, both ga ta in korean and đi in vietnamese have same meaning that is moving from...

‘Gada' and ‘Oda' are the most typical examples of the locomotion verbs expressing change of locations.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Vietnamese- speaking countries, both ga ta in korean and đi in vietnamese have same meaning that is moving from this place to another place and both oda in korean and đến in vietnamese have same meaning that is moving from a place where have the speaker .It is easy to presume that the meaning and the use of 'gada/oda' will be similar to their apparent similarities. Event with compound verds using 'gada/oda', they tend to often come up with awkward sentences as they simply translate their Vietnamese sentences into Korean. This kind of communication problem will persist if we do not acknowledge a system for the correct use of 'gada/oda' and for expressing locomotions in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aims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and use of the locomotion verbs in Korean 'gada/oda' and Vietnamese 'đi/đến' and regulate lexicalization patterns of locomotion verbs throung practical experiments by examining the actual use by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and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iciently educational method in movement verbs for Vietnamese.
In chapter 1, we will point out research method, research purpose and pre-researches about gada and oda in korean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look at previous researches to evaluate aspects of using gada/oda.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identify point of reference, coding time, reference time in choosing gada or oda as a requirement. Finally, we will think about the meaning of gada/ oda in korean and di in vietnamese.
In chapter 3, there is a survey with the target are native Korean and native Vietnamese at the same questionaire. As a consequence, we could be clearly the differences between using gada/oda in Korean and di/den in Vietnamese. Similarly, we also use this survey for Vietmease people who are Korean's learner, and we easily investigate their mistake in using gada/oda.
In chapter 4, We will present a new approaching that could be effectively method for Korean education system in Vietnam- for Vietnamese learners.
In conclusion, chapter 5 will be general summar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urthermore, we can visualize the meaning of the and illiminate its negative.
In this study, There is a significant pros that the brings out, such as supporting basically knowledge about the differences in using moving verb in korean as well as in vietnamese. Simultaneously, the study presents specifically educated method "go" verb in Korean to vietnamese learners.

가다’와 ‘오다’는 장소의 변화를 수반하는 이동 표현 동사로서 가장 전형적인 이동동사라 할 수 있다. 한국어 ‘가다/오다’와 베트남어 ‘đi/ đến'은 표면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

‘가다’와 ‘오다’는 장소의 변화를 수반하는 이동 표현 동사로서 가장 전형적인 이동동사라 할 수 있다. 한국어 ‘가다/오다’와 베트남어 ‘đi/ đến'은 표면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가다’와 베트남어 ‘đi’는 모두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한국어 ‘오다’ 와 베트남어 ‘đến’는 모두 ‘어떤 사람이 말하는 사람, 혹은 기준이 되는 사람이 있는 쪽으로 움직여 위치를 옮기다’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렇듯 ‘가다/오다’에 대응하는 베트남어의 기본 의미는 서로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가다/오다’가 자신의 모국어와 비슷할 것이라 추측하고 ‘가다/오다’를 사용할 때 자신의 모국어로 생각한 문장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겨 어색한 문장을 만드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가다/오다’의 화용적인 사용 양상과 한국어 이동 표현의 체계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이러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계속해서 야기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이동동사 ‘가다/오다’와 베트남어 ‘đi/ đến'의 의미와 화용적 차이를 살펴보고, 실제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오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동동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 동사 ‘가다’와 ‘오다’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동동사 ‘가다’와 ‘오다’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을 살펴본 후 한국어 ‘가다/오다’와 베트남어 'đi/đến'의 의미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설문 소사를 실시하고 그 설문 문항을 그대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제시하여 실시함으로써 ‘가다/오다’ 사용에서의 상황별 오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를 통해 ‘가다/오다’와 'đi/đến'의 사용 양상과 분포를 정리하여 베트남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해 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한국어에서는 이동주체가 화자일 경우 현재 화자의 위치로의 이동에는 ‘오다’가 쓰이고 베트남어에서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즉 이 경우에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사용 양상에 차이가 없어서 오류가 많지 않았다. 다음으로 화자가 참조시의 청자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가다’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베트남어에서는 'đến'를 선택하지만 'đến'보다 ‘đi về’즉 ‘돌아가다'의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이동주체가 청자일 경우에는 현재 화자의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는 ‘오다’가 쓰이고 목적지가 청자 쪽이나 제3의 장소일 때는 ‘가다’만 쓰인다. 이 경우에 대해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오류가 많이 나왔다. 왜냐하면 한국어에서는 발화시와 참조시의 상황에 따라 ‘가다’와 ‘오다’를 선택 하나 베트남어에서는 발화시와 참조시의 관계없이 목적지와 방향에 따라 đi나 đến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주체가 제3자이고 목적지가 제3의 장소일 때에는 ‘가다’만 선택하는데 이 경우는 한국어와 베트남어가 완전히 일치하므로 오류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베트남에 있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다/오다’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주체가 화자일 때’, ‘이동주체가 청자일 때’, ‘이동주체가 제3자일 때’로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황에 맞는 그림과 문장을 통해 학습자들이 이동주체에 따라 한국어 ‘가다’ ‘오다’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대화문과 담화를 통해 ‘가다’와 ‘오다’의 사용을 연습하도록 하고, 활용단계에서는 ‘명령하기 놀이’와 ‘동화 텍스트를 활용해서 연극하기’등을 통해 한국어 이동동사를 직접 체험하고 흥미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이 논문은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이동동사 ‘가다/오다’ 의 사용에 있어 상황에 따라 자신의 모국어와 차이점 및 공통점이 있음을 인식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