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언어 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선행 연구들이 주장한 한국어의 능격성을 깊이 고찰하고, 인도네시아어 능격성과 비교·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에 언어 유형론 측면의 능...
이 연구는 언어 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선행 연구들이 주장한 한국어의 능격성을 깊이 고찰하고, 인도네시아어 능격성과 비교·대조 분석함으로써 한국어에 언어 유형론 측면의 능격성, 즉 능격-절대격 체계가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 유형론 측면에서 ‘능격(ergative)’이라는 용어는 원래 능격언어(ergative language)에서 타동사문의 주어를 표시해 주는 격 표지를 말한다.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는 대격언어(accusative language)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많은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가 능격성(ergativity)을 지닌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Dixon(1994), Whaley(1997), Blake(2001), Song(2001) 등의 연구에서 제시된 능격-절대격 체계의 검토 조건으로 두 언어를 검토하고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능격’과 ‘능격성’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장의 첫 부분에서는 언어 유형론 측면의 능격성, 즉 능격-절대격 체계(ergative-absolutive system)가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언어 유형론의 능격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주격-대격 체계(nominative-accusative system)를 살펴보았고, 한 언어에서 두 체계를 함께 사용하는 분열 능격 체계(split ergative system)도 같이 살펴보았다. 그러나 형태·통사론적 유형론에서 유래한 ‘능격’이라는 용어는 대격언어의 문장에서 논항들의 관계를 표시해 주는 격 표지 외에도 형태변화 없이 자동사와 타동사로 쓰이는 자타양용동사 또는 능격동사(ergative verb)를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능격’의 형태·통사론적 양상과 유사한 현상이 의미·통사론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형태·통사론적 ‘능격’과 구별하기 위해 ‘능격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대격언어의 능격동사에서 일어나는 능격성에 대해서는 2장의 두 번째 부분에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능격성을 그 실현 방법에 따라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우선 한국어에서는 능격-절대격 체계를 적용한 선행 연구들이 제시했던 예문을 정리했고, 한국어의 형태적 능격성(morphological ergativity)과 통사적 능격성(syntactic ergativity)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대격언어인 인도네시아어가 능격-절대격 체계를 동시에 적용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인도네시아어의 형태적 능격성과 통사적 능격성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그리고 인도네시아어의 분열 능격 체계가 어떤 조건에 따라 적용되는지에 관한 선행 연구는 아직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3장에서는 인도네시아어의 능격성의 실현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정리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능격성을 Dixon(1994)을 비롯한 여러 서구 언어학자들이 설정한 능격성의 검토 조건으로 검토하고 대조하여 분석을 해 보았다. 한국어의 능격성의 원활한 대조 분석을 하기 위하여 인도네시아어의 능격성을 먼저 살펴보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에 언어 유형론 측면의 능격성이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내렸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language typological study and aims to prove the existence of erg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by deeply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which claimed that the Korean language applies ergative-absolutive system into its gram...
This study is focusing on language typological study and aims to prove the existence of erg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by deeply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which claimed that the Korean language applies ergative-absolutive system into its grammar, and compare it to the ergativity phenomenon in the Indonesian language. The word “ergative” in language typology is the case marking which marks the subject of transitive sentence in what is called “ergative language”. In fact, Korean dan Indonesian language are known as accusative languages, but according to the preceding studies and researches, it is said that ergativity can be found in both languages. This study tried to look for evidence of ergativity in both languages using the ergativity parameter set by Dixon(1994), Whaley(1997), Blake(2001), Song(2001) etc.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arranged as follows. Chapter 2 dealt with the concept of “ergative” and “ergativity”. The first part of this chapter discussed about the ergativity and ergative-absolutive system as a subject in morphosyntactic branch of language typology, and also found out how the ergativity is realized in ergative languages. This part analyzed the nominative-accusative system as well as a comparison to ergative-absolutive system and also the split ergative system which is a split case marking system between the two case marking systems mentioned above. The second part of this chapter discussed about the ergativity found in accusative language, such as Korean language. Ergativity in accusative language explain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of intransitive sentence and object of the transitive sentence using the same “ergative verb”.
Chapter 3 organized the realization of the ergativity of both languages as claimed by the preceding studies. Ergativity usually can be realized morphologically or syntactically, therefore this chapter attempted to order the realization of the ergativity of both languages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find the evidence of ergativity in both languages, organizing the ergativity of both languages into morphological ergativity and syntactical ergativity systematically is important.
Chapter 4 dealt with the comparison of the ergativity of both Korean and Indonesian language which has been ordered and organized in the previous chapter. Since the ergativity in Indonesian language is more acknowledged than in Korean language, the comparative approach and study was held by examining the ergativity of Indonesian language first before examining the one of Korean language. This chapter brought up new evidences that the ergativity in the Korean language claimed by preceding studies are actually mixing-up the “ergativity” of the case marking system with the “ergativity” used in describing “ergative verb”. This confusion made some of the preceding studies add new category into the ergativity which is called “lexical ergativity”.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discussion held in chapter 4 is summarized and the conclusion is given i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