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법형태소 산출 : 조사, 피동·사동 접사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is designed to acknowledge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re are in producing grammatical morphemes and to research its characteristics when Broca's aphasic patients perform the sentence elicited production task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

This study is designed to acknowledge what kinds of difficulties there are in producing grammatical morphemes and to research its characteristics when Broca's aphasic patients perform the sentence elicited production task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vocabulary cues are giv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 of 15 Broca's aphasic patients suffering from the left hemisphere damage and 15 normal adults with the same level of education, sex and age. The research tasks consist of the locative, the instrumental, and the dative particle production among the adverbial particle and the passive and causative affix production tasks, whereas the nominative and the accusative particle is to be produced when the adverbial particle task is don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s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on frequency in right rea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the Broca's aphasia patients group was remarkably low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While the normal group produced all particles in the ratio of more than 90% as the order of the nominative, the locative, the accusative, the dative, the instrumental, the Broca's aphasia patients group produced all particles in the low ratio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s the order of the nominative(77.4%), the accusative(67.1%), the dative(47.8%), the instrumental(32.2%), the locative(21.2%). While the normal group produced the passive and causative particles in the ratio of more than 95%, the Broca's aphasia group produced low percentages in the passive(41.2%) and causative(27.8%) particles production compared the normal group.
Second, according to the error type research results in grammatical morphemes particle shown in each group, the overall error rate of the normal group gets down as the order of the instrumental, the dative, the accusative, the locative, the nominative, whereas the rate goes down as the order of the locative(78.8%), the instrumental(67.8%), the dative(52.2%), the accusative(32.9%), the nominative(22.6%).
Third, in the error type shown from the Broca's aphasia patients group, the error rate in the nominative particle production tasks is as follows: particle omission(12.9%), substitution(5.2%), phrasal omission(2.6%), the other(1.9%). The error rate in the accusative particle production tasks is as follows: particle omission(13.3%), phrasal omission(10.7%), substitution(6.3%), the other(2.6%). The error rate in the locative particle production tasks among adverbial particles is as follows: phrasal omission(25.5%), substitution(24.5%), the other(15.5%), particle omission(13.3%). The error rate in the instrumental particle production tasks is as follows: substitution(38.9%), particle omission(13.4%). the other(10.0%), phrasal omission(5.5%). The error rate in the dative particle production tasks is as follows: substitution(32.2%), particle omission(13.3%), the other(6.7%), phrasal omission(0.0%).
Fourth, concerning the result that analyzed how the target case was substituted when the Broca's aphasia patients group produced grammatical morphemes, the particle substitution error appeared as the order of the instrumental, the dative, the locative, the accusative, the nominative and concerning the substitution type, the accusative was the most.
Fifth, concerning the result that researched the grammatical morphemes passive and causative affix particle errors in each group, the normal group did not show any affix ommission error producing as the basic type of verbs, whereas the Broca's aphasia group showed frequent errors to omit the passive and causative affix.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roca's aphasia group had difficulties in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Broca's aphasia patients produced grammatical morphemes in a different rate of frequency according to their types. In other words, the production difficulties of the nominative, and the accusative which is developed early and used often were less than those of the passive and causative particles which are developed late and used in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 This theory supports the assertion that the Broca's aphasia patients don't lose all grammatical treatment capabilities of languages. That is to say the Broca's aphasia patients show the agrammatism which has language specific of their native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브로카 실어환자들이 어휘 단서를 제시한 상황에서 문장 유도 산출 과제(sentence elicited production task)를 수행하였을 때, 문법형태산출에서 어떤 어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브로카 실어환자들이 어휘 단서를 제시한 상황에서 문장 유도 산출 과제(sentence elicited production task)를 수행하였을 때, 문법형태소 산출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좌측 대뇌손상을 입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 15명과 교육년수와 성별 및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성인 15명이었다. 실험 과제는 부사격조사 중 처소격ㆍ도구격ㆍ여격 조사 산출 과제와 피동사동접사 산출 과제로 구성되었고,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산출은 부사격조사 과제를 시행할 때 산출하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낮은 빈도로 문법형태소를 산출하였다. 조사 산출에서 정상군은 주격, 처소격, 목적격, 여격, 도구격 순으로 모든 조사를 90% 이상 비율로 산출한데 반하여,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은 주격(77.4%), 목적격(67.1%), 여격(47.8%), 도구격(32.2%), 처소격(21.2%) 순으로 정상군에 비해 모두 낮은 비율로 산출하였다. 피동사동접사 산출에서도 정상군은 피동ㆍ사동접사 모두 95% 이상의 비율로 산출한데 반하여,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은 사동접사(41.2%), 피동접사(27.8%)로 정상군에 비해 낮은 비율로 피동ㆍ사동접사를 산출하였다.
둘째, 두 집단에서 나타난 문법 형태소 조사의 오류 유형별 비율을 살펴본 결과, 정상군의 총 오류율은 도구격, 여격, 목적격, 처소격, 주격 순으로 낮은 것에 비하여,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은 처소격(78.8%), 도구격(67.8%), 여격(52.2%), 목적격(32.9%), 주격(22.6%) 순이었다.
셋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주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는 조사 생략(12.9%), 대치(5.2%), 어절 생략(2.6%), 기타(1.9%) 순이었고, 목적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는 조사 생략(13.3%), 어절 생략(10.7%), 대치(6.3%), 기타(2.6%) 순이었다. 부사격 조사 중 처소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는 어절 생략(25.5%), 대치(24.5%), 기타(15.5%), 조사 생략(13.3%) 순이었고, 도구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는 대치(38.9%), 조사 생략(13.4%), 기타(10.0%), 어절 생략(5.5%) 순이었으며, 여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는 대치(32.2%), 조사 생략(13.3%), 기타(6.7%), 어절 생략(0.0%) 순이었다.
넷째,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의 문법형태소 산출 시, 목표격이 어떤 유형으로 대치되고 있는 지를 분석한 결과, 조사의 대치 오류가 많이 나타난 순서는 도구격, 여격, 처소격, 목적격, 주격 순이었고, 대치 유형은 목적격으로 대치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여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 사용된‘수혜자(beneficiary)’를 ‘행위자(subject)’로, 도구격 조사 산출 과제에서 사용된 ‘도구(instrument)를 ‘대상(object)’으로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다섯째, 두 집단에서 나타난 문법형태소 피동ㆍ사동 접사의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정상군은 동사의 기본형으로 산출하는 접사생략 오류가 하나도 없었던 반면, 브로카 실어증 환자군은 피동ㆍ사동접사 모두 접사생략 오류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 결과,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정상군에 비하여 문법형태소 산출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문법형태소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산출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늦게 발달하고, 복잡한 문장 구조에서 사용되는 피동ㆍ사동접사와 같은 문법형태소에 비하여 일찍 발달하고, 빈번히 사용되는 주격과 목적격 조사 산출의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언어의 문법적 처리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즉, 브로카 실어증 환자는 한국어의 언어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실문법적 증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