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A.A. Kholodovich (아.아. 홀로도비치)의 『한국어 문법』에서 통사론 연구'라는 제목으로 제출한 석사 과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에 관해 살펴본 후 러시... 본 논문은 A.A. Kholodovich (아.아. 홀로도비치)의 『한국어 문법』에서 통사론 연구'라는 제목으로 제출한 석사 과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러시아에서의 한국학에 관해 살펴본 후 러시아 한 국학의 대가인 A.A. Kholodovich의 이론을, 통사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본 논문의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목적과 연구 대상을 밝힌 서론에서는 A.A. Kholodovich의 이론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본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본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2.1장은 19세기 말부터 현재까지의 러시아 한국학의 흐름을 개괄하면서 우리가 한 번쯤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단계 논의 등을 전반적으로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9세기 말 러시아에서 한국학이라는 학문이 발생하게 된 계기 및 원인, 그리고 그 이후의 한국학의 발전 과정, 1917년 혁명 이후 한국학의 실태, 1930 - 1940년도에 스탈린의 진압책으로 인해 변화된 상황, 마지막으로 20세기 후반 한국학의 재탄생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더불어 2.2 장에서는 A.A. Kholodovich의 자서전과 인생, 학문적인 이력과 배경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었다.3장에서는 A.A. Kholodovich의 통사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는데 A.A. Kholodovich의 『한국어 문법』에서의 이론과 예시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즉, 문장 성분, 단순문과 복합문, 한국어의 문장에서 생기는 다양한 현상들에 대한 원어(러시아어) 자료를 한국어로 옮기면서 이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덧붙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러시아 학자의 입장이나 논의의 방향이 한국 학자들의 그것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에도 주목하였다. 그런데 북한 자료밖에 접할 수 없었던 당시 러시아의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뿐만 아니라 당시 러시아에서의 언어학 연구 방법론과 이론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A.A. Kholodovich는 한국어의 문장 성분 구분을 구분할 때 러시아어의 문장 성분 구분과 같은 방식을 따랐고 문장 성분의 수나 단순문, 복합문에 대한 설명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끝으로 본 논문의 부록에는 A.A. Kholodovich의 저서에서 사용된 용어 목록, A.A. Kholodovich의 『한국어 문법』의 머리말을 원어와 함께 한국어로 옮겨 놓았으며 A.A. Kholodovich의 다른 저서 및 연구 목록도 정리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