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강조 구문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강조 구문 중 통사적 장치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강조 구문 중 통사적 장치에 해당되는 전치, 도치, 분열...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강조 구문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강조 구문 중 통사적 장치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강조 구문 중 통사적 장치에 해당되는 전치, 도치, 분열문, 유사분열문을 바탕으로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강조 구문의 인식 및 선호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들의 데이터를 영어 원어민 화자의 강조 구문 인식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 성인 학습자 90명과 원어민 화자 15명에게 통사적 장치를 묻는 설문지를 나누어주고, 설문지를 통해 얻은 응답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사적 장치 4가지 중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가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강조 구문은 분열문으로, 그 중에서도 구어체 영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축소된 형태의 분열문에 대해서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영어 실력에 상관없이 높은 인식률을 보여주었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보다 전치 구문을 더 인식하고 있었는데, 영어 실력이 낮을수록 이러한 경향이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전치 구문이 흔한 한국어의 영향에 기인한다고 볼 수도 있고, 통사론과 화용론의 접점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강조 구문을 학습자들이 의식적으로 학습한 효과라고도 볼 수 있다.
셋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는 통사적 강조 구문을 인지는 하고 있으나 선호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유표적 어순이나 복잡한 문장을 가진 강조 구문보다는 짧고 간단한 문장을 구어체에서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는 강조의 효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초점 방식에 대해서 지도하고, 학습자들에게 상황적 맥락에 매우 의존적인 강조 구문을 다양하고도 적절한 맥락을 통해 학습시켜 그들이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원어민 화자의 실제 발화에서 강조 구문의 특정 패턴을 연구․분석한다면 학습자들이 영어다운 영어를 구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들의 학습에 있어서도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EFL learners understand English focus constructions, especially syntactic focus devices in a spoken text. Dialogs where preposing, inversion, It-cleft and Wh-cleft focus devices could be used were s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EFL learners understand English focus constructions, especially syntactic focus devices in a spoken text. Dialogs where preposing, inversion, It-cleft and Wh-cleft focus devices could be used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Korean EFL learners' knowledge of syntactic focus devices and compiled into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90 Korean learners and 15 native speakers. The native speakers(NS) were chosen for comparison, and non-native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native data. The results are discussed below.
First, of the four syntactic focus constructions analyzed in this study, it was It-cleft that was noticed with the highest awareness in both non-native and native data. The Korean learners in all levels rated ‘the reduced It-cleft’ as more natural, which differs from It-clefts because it omits a wh-clause. It is frequently used in spoken English.
Second, the Korean learners rated preposing devices as highly natural much more than the NS. Among the Korean learners, the lower the English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he more natural they rated preposing devices. It could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uses preposing sentences frequently or as the effect of conscious studying of preposing devices presented in textbooks they used.
Third, it was revealed that both the Korean learners and the NS understood syntactic focus devices, but preferred to choose short and unmarked sentences more than complicated and marked sentences in spoken langu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ing various focus devices and their diverse uses is essential in utilizing idiomatic English in spoken language. Focus constructions are context-sensitive, so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rovide EFL students with practice using focus devices in diverse contexts in L2 classrooms in order to help L2 learners to learn and use these devices appropriately.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examination of English focus constructions in a corpus of NS spoken language can be helpful for EFL students to acquire idiomatic English.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