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접속의 영어 번역유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어와 영어접속사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접속어가 영어번역될 때에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

한국어와 영어의 접속사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접속어가 영어로 번역될 때에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어 [V1/고/V2]구문이 영어로 번역될 때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기술하였다.
먼저 서정수(1994)에서‘고’접속의 분류를 살펴보고, 한국어 자료에서 [V1/고/V2]구문을 가진 문장을 추출해서 네 가지 접속 유형(보조접속, 대등접속, 순차접속, 동태접속)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총 330개 문장을 연구대상으로 각 유형별로 영어로 어떻게 번역되었으며, 영어 번역본과 대응해서 나타난 우리말 본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나타난 보조접속(65.1%)은 보조동사와 ‘고’의 접속으로 ‘-고 있다(79.1%)/-고 싶다(12.1%)/-고 나다(5.1%)/-고 말다(3.7%)’네 가지가 나타났다.‘-고 있다’는 영어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51.8%)와 현재분사로 번역된 경우(48.2%)로 영어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고 싶다’는 영어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11.5%), 명사로 번역된 경우(11.5%), 동사로 번역되는 경우 (76.9%)로 동사로 번역된 경우가 월등하게 많이 나타났다.‘-고 나다’는 영어로 나타나지 않는 한 가지 형태가 나타났지만 특성상 종속접속사와 함께 쓰였다.‘-고 말다’는 'end up -ing' 구문(25.0%)과 영어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75.0%)로 번역되어 영어로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월등하게 많이 나타났다. 이로써 [V1/고/V2]구문에서 보조동사는 영어로 번역되지 않는 경우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두 동사의 상태나 반복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대등접속(3.6%)은 V/등위접속사 구문으로만 나타났고 등위접속사 'and'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두 동사의 앞, 뒤 시간차를 보여주는 순차접속(9.1%)은 다섯 가지 형태로 V/등위접속사(43.3%), V/종속접속사(20.0%), V/전치사(6.7%), V/부사(6.7%), V/ Ø(23.3%)로 나타났다. 두 동사가 동일한 시간대에 일어나서 동시동작이나 행위의 방법을 보여주는 동태접속(22.1%)은 모두 여섯 가지 형태로 V/등위접속사(10.9%), V/종속접속사(4.1%), V/전치사(38.4%), V/부사(4.1%), V/ Ø(30.1%), V1-ing/V2(12.3%)구문이 나타났다. [V1/고/V2]구문에서 V1과 V2가 연결될 때 뚜렷한 시간관계를 보이는 순차접속과 동태접속에서 다양한 영어 번역 구문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가장 큰 시사점은‘고’가 단순히 단어를 나열하거나 결합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접속유형으로 의미를 가지고 하위분류 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V1/고/V2]구문은 등위접속사‘and'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번역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우리말‘고’는 형태 그 자체의 제약보다는 주변에 존재하는 문맥관계의 제약을 더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결론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교육현장에서‘고’접속구문을 영어로 번역할 때 한영사전에서 제시된 등위접속사 'and'만을 취할 수 있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전 출판사는‘고’의 영어 대응 표현을 다양하게 수록하는 점도 다루어져야 하겠다.
이로써 유형별로 분류된 한국어‘고’접속에 대한 영어 대응 표현의 쓰임 목록이 완성된다면 모국어 간섭현상에 의해 한국어와 영어가 일대일로 대응된다고 생각하는 영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영어 번역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further conjunctive patterns and expressions when Korean 'ko' is translated into English. Conjunction is the process of combining two constituents of the same type to produce another, larger constituent of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further conjunctive patterns and expressions when Korean 'ko' is translated into English. Conjunction is the process of combining two constituents of the same type to produce another, larger constituent of the same type. Conjunctive words or inflectional endings are used to show various relations between the constituent sentences, but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V1/ko/V2]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e parallel case consisting of the original Korean source texts and their English translations is analyzed. The sentences involving the Korean [V1/ko/V2] construction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texts and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paralleled English sentences were located in the English counterparts and were analyzed based on each Korean 'ko' type.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at Korean [V1/ko/V2] construction is translated based on four kinds of 'ko' conjunctive types. The first type is that Korean 'ko' is shown in conjunction with bounding verbs. Four kinds of bounding verbs(-ko itta/-ko siphta/-ko nata/-ko malta) were subtracted from the Korean text and analyzed. The second type is when Korean [V1/ko/V2] construction is shown in conjunction with coordinating conjunction. V1 and V2 happen independently and can be exchanged without a difference of meaning. The third type is when Korean [V1/ko/V2] construction is shown in conjunction with consecutive conjunction. The two events listed spatially by 'ko' are ordered chronologically. The last type is when Korean [V1/ko/V2] construction is shown in conjunction with simultaneous conjunction. V1 and V2 happen simultaneously, connecting two events in terms of the same time.
Based on four kinds of 'ko' conjunctive types, Korean [V1/ko/V2] construction was translated with various patterns and expressions. The understanding of these patterns will help Korean learners avoid sticking to certain typical patterns and will encourage them to be expressive naturally, with various patterns in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of the Korean 'ko' conjunction.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