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사의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현행 읽기 교육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읽기 교육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서울 ...

본 연구는 현행 읽기 교육 및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 부설 한국어 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한국어 기관에서 현재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총 78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 교육 및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지도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총 3개의 영역, 즉 응답자의 기초 정보, 한국어 읽기 교육 및 담화 표지어 교수에 대한 문항에서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읽기 교육이 한국어 교육 내에서 갖는 의미를 조망하고, 효율적인 읽기를 위한 읽기 전략으로서 담화 표지어 교수의 필요성을 밝혔다. 1장 후반부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읽기의 개념 및 읽기 모형을 제시하였고, 담화 구조와 담화 표지어의 기능 및 분류 및 교사의 읽기 교육 및 교수 방식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끝으로 EFL,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담화 표지어 관련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3장 연구 방법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수 현황 및 읽기 교육 시 담화 표지어 지도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자료 수집 사항을 보고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설문조사 결과를 읽기 교육 현황 및 담화 표지어 교수 현황으로 나누어 보고·논의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 요약 및 한국어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담화 표지어를 활용한 읽기 교수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끝으로 논문을 정리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의 이해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다수의 응답자가 ‘글의 전체적인 맥락 및 구조에 대한 이해’를 선택한 반면, 읽기 수업의 주요 지도 방식으로 ‘내용 이해를 위한 세부 설명을 한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 교수방법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행 읽기 교육에 대한 문제점으로 다수의 응답자가 ‘읽기 전략 교수의 부재’를 선택한 동시에 ‘읽기 전략 지도’를 읽기 수업에 대한 부담으로 여긴다고 응답했다. 이 결과를 통해 볼 때 교사들이 읽기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구체적인 읽기 전략 교수법 마련에 있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담화 표지어의 교육적 효과로 ‘전체적인 글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응답이 절대적으로 많았는데(78.2%), 이는 앞서 읽기의 이해도 결정 요인과 일치한다. 즉 독해력 향상에 있어서 담화 표지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응답자들은 담화 표지어 교수의 어려움에 대하여 ‘담화 표지어 교수의 단계별 지침의 부재’ 및 ‘담화 표지어 범주의 불확실’을 들었다. 이는 담화 표지어 교수 방안 마련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점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응답자들은 담화 표지어 지도가 ‘중급단계의 읽기’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초급, 중급, 고급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쳐야할 담화 표지어 범주에 대한 응답에서도 단계별로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담화 표지어 교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to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current reading class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using teaching discourse markers, and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the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nto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bout current reading class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using teaching discourse markers, and to examine current status of the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bout Korean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upon 78 teachers who are teaching Korean in various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cluding the ones attached to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3 area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respondents, Korean reading instruction and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chapter 1, it inquires into the meaning of reading i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rified the necessity of teaching discourse markers as a strategy for efficient reading. In addi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1. In chapter 2, it argued the concept of reading and suggested reading models, as well as arranging function and classification of discourse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teachers' reading class and their recognition of instruction methods. Moreover, it also investigated into previous studies concern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in EFL, Korean or other language classes. In chapter 3, it ed the result of data collection for the survey, which is needed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Korean reading classes using discourse markers. In chapter 4, it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in chapter 3, in terms of the status of normal reading instruction and the one with discourse markers. In chapter 5, it summarized the result, made sugges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nd suggested reading instruction model using discourse markers. Finally, it mentione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made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many respondents chose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text and structu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comprehension, and many were found to "give detailed explan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as a major instruction method in reading class. From this result, it was implie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reading instruction and their actual teaching methods.
Second,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pointed out "lack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 as a problem of current reading class, as well as considering "teaching reading strategy" as a burden of reading class. The result suggested that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making appropriate and substantial strategies for reading class, al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reading strategy.
Third, 78.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discourse markers "help students understand general flow and context of the reading more easily" and it corresponds with the aforementioned factor determining the understanding level. Thus, it is found that discourse markers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reading comprehension.
Fourth, concerning the difficulty in using discourse markers in the class, most respondents pointed out "lack of guidelines in stages for discourse markers instruction" and "range uncertainty of discourse markers." It is highly required to solve these two problems when preparing discourse markers instruction guidelines.
Las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lass using discourse markers is the most efficient for "intermediate reading," and they also thought that the range of discourse markers taught in class should be varied upon the level of students, from beginners to advanced. It impl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among instruction with dicourse makers upon the proficiency of learn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